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고교학점제' 첫 도입…잠자는 교실 깨울까

학교 교실사진유경민 기자
학교 교실[사진=유경민 기자]
올해 고1부터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됐다.
대학생이 수강을 신청하듯 원하는 과목을 골라서 듣고 학점을 채워야 졸업한다.
 
17일 교육부 등에 따르면 학생들은 고교학점제를 통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기준에 도달한 과목에 대해 학점을 취득해 졸업할 수 있게 됐다.
지금까지는 주어진 교육과정에 따라 수업을 들었다면 이제부터는 반드시 배워야 하는 공통과목을 제외한 과목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1학년은 우선 기초 소양을 위해 공통과목 48학점을 듣는다.
학기 초 진로·적성 검사와 상담을 받고 5월쯤부터 다양한 선택과목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어 2학기까지 과목 수요 조사 과정을 거친 후 2학년 때 들을 선택과목을 결정한다.
 학생은 공통과목 외 다양한 교과목을 선택·이수해 누적 학점이 192점 이상이면 졸업할 수 있다.
 
성적은 A부터 E까지 절대평가로 매기고 E등급인 하위 40% 미만 낙제점을 받으면 졸업이 안 된다.
이수기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은 방과 후나 방학 중 보충지도 등을 받는다.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서 교실 풍경에도 큰 변화가 생겼다.
'다 같이 한 곳에 앉아 선생님을 기다리던' 예전의 교실 풍경 자체가 사라지게 됐다.
대학처럼 자신이 원하는 과목을 가르치는 선생님이 있는 교실로 직접 찾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듣고 싶은 과목이 '내 학교'엔 개설되지 않았다면 옆 동네 다른 학교나 가까운 지역의 대학, 사회기관에서도 들을 수 있다.
자신이 듣고 싶은 수업이 인근 학교나 대학 등에도 없다면 '온라인 학교'를 이용하면 된다.
교육당국은 고교학점제를 통해 학생 맞춤형 교육을 실현하고 '잠자는 교실'을 깨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보장해 일률적인 교육에서 벗어나 진로와 적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우리나라 고교 교육을 대입과 별개로 생각할 수 없는데 결국 입시에 유리한 수업으로 학생들이 쏠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학교는 학생들의 선택 폭을 넓히기 위해 다양한 과목을 개설해야 하기 때문에 교사업무가 과중될 수도 있다.
김희정 경기교사노조 대변인은 "다과목 수업과 고교학점제로 생긴 행정업무, 진로·선택 과목 설계 지도로 교사들이 업무 부담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아주경제=주혜린 기자 joojoosky@ajunews.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