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코로나' 이후 카페 가장 많이 증가…회식 감소에 호프집↓


2017~2022년 사업체조사 분석결과 발표
카페, 연남동·가양1동·성수1가2동 순 증가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서울시내 '카페'가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서울시내 '카페'가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더팩트ㅣ정소양 기자] 지난 2017~2022년 서울시내 생활밀접업종 중 '카페'가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코로나 팬데믹' 이전과 이후를 아우르는 2017년부터 2022년까지 20개 생활밀접업종 변화와 20개 주요상권의 산업 특성 변화 분석 결과를 18일 공개했다.

이번 분석은 시가 처음으로 분석한 것으로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서울시 사업체조사 자료 총 586만 건을 활용했으며, 이 중 20개 생활밀접업종과 20개 주요 상권을 추출해 사업체 변동 추이를 분석했다.

지난 5년간 사업체 수가 증가한 업종은 카페, 양식음식점, 일반의원, 예술학원, 스포츠 강습소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반의류점, 치킨전문점, 분식전문점, 호프-간이주점, 화장품점, 슈퍼마켓, 컴퓨터 및 부품 판매업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카페는 총 2만2135개로 5년 전보다 5658개(34.3%) 증가했으며, 코로나19 상황에서도 매년 꾸준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 소비가 이미 일상화·대중화된 결과라고 시는 해석했다. 카페가 가장 많이 늘어난 지역은 연남동으로 137개, 120.2%가 증가해 가장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다. 연남동에 이어 카페가 가장 많이 늘어난 지역은 가양1동, 성수1가2동 등이다.

반면 호프-간이주점은 총 1만4626개로, 2020년 이후 감소세를 보였으며 2020년 대비 1724개(10.5%)가 줄었다. 호프-간이주점이 가장 많은 지역은 서교동으로 총454개였으며, 이어 종로1·2·3·4가동이 313개, 화양동이 218개 순으로 나타났다. 호프-간이주점의 경우 코로나19 엔데믹 이후에도 대규모 회식 대신 소규모 모임이나 '혼술' 문화의 확산, 1인 가구의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030 청년 대표자 비중이 높은 업종은 스포츠 강습업이 3652개로 절반 이상(52.4%)을 차지했다. 이어 양식음식점(45.3%), 카페(42%), 예술학원 39.3% 순이다.

시는 이번 분석결과와 함께 1994년 이후 2023년까지 30년간의 사업체조사 결과를 행정동 및 세부 업종별로 분석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서울시 열린데이터광장에 공개하고 있다. '서울시 사업체조사결과 정보'로 검색해 관련 자료를 열람 또는 내려받기를 할 수 있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이번 서울시내 사업체 분석 결과를 시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화 콘텐츠로도 제공하는 만큼 시민들의 창업계획, 연구 보고서 등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jsy@tf.co.kr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쎈Ŧ逾믭옙占�
HTML占쎈챷彛�
沃섎챶�곮퉪�용┛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