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저출산 여파 2033년 82만명 인력 부족”

고용정보원, 중장기 수급 전망
경제활동인구 2030년 감소 전환
취업자 수는 2029년 증가세 꺾여
10년간 인력증가폭 10분의 1토막


저출산·고령화 여파에 취업자 수는 2029년, 경제활동인구는 2030년부터 전년 대비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고령자·여성·청년의 경제활동 참여율을 높이고, 노동 생산성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17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구직자들이 취업 공고를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고용정보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을 17일 발표했다.
경제활동인구는 15세 이상 인구 중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하거나 구직 활동 중인 사람을 뜻한다.
노동시장의 공급 규모를 의미하는 이 인구는 2023년부터 2033년까지 총 24만8000명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이전 10년간(2013~2023년) 증가 폭(309만5000명)의 10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동시에 2029년 2962만6000명으로 정점을 기록한 뒤 2030년부터는 전년 대비 감소 전환할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15세 이상 취업자 수는 31만2000명 증가할 전망이다.
취업자 수는 기업의 인력 수요를 의미한다.
이 역시 이전 10년간 증가 폭(311만7000명)의 10분의 1 수준으로 추산됐다.
이들 규모는 2028년 2881만3000명을 기록한 뒤 2029년부터 전년 대비 1만4000명 줄어들어 감소세로 전환할 전망이다.
경제활동인구보다 1년 먼저 감소세에 돌입하는 셈이다.

취업자 수는 고령화·돌봄 수요 확대 등으로 사회복지와 보건업 분야에서 가장 많이 늘어날 것으로 관측됐다.
반면 산업 전환의 직격탄을 맞은 분야인 소매업, 음식·주점업, 도매 및 상품중개업 분야에서는 감소할 전망이다.
직업별로 보면 돌봄, 보건 및 개인서비스직, 보건·사회복지직, 공학전문가 등은 증가하나 매장 판매직, 교육전문가 등은 감소가 예상된다.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원각사 노인무료급식소 앞이 식사를 기다리는 어르신들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고용정보원은 향후 10년간 지속해서 1.9%의 경제성장 전망치를 달성하기 위해 인력이 82만1000명 더 필요하다고 봤다.
산업연구원에서 제시한 장기 경제성장률 1.9%를 유지하려면 총 2954만9000명 인력이 필요한데 고령화 등 영향으로 공급 인력은 2872만8000명에 그친다는 설명이다.
결과적으로 82만1000명이 부족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번에 고용정보원이 내놓은 분석은 지난해 발표한 결과와 비교했을 때 취업자 수 감소 시기가 늦춰지고, 추가 필요인력도 줄어들었다.
지난해에는 2028년부터 취업자 수가 줄고, 2032년까지 추가 필요인력이 89만4000만명이라고 했다.

정순기 고용정보원 인력수급전망팀장은 “지난해 분석에서는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1.9∼2.1% 구간으로 설정했는데, 올해는 1.9%로 조정해 전망치가 변동했다”며 “성장률이 상향하면 필요인력도 비례해 늘어난다”고 설명했다.

고용정보원은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노동시장의 긴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준영 고용정보원 고용정보분석실장은 “노동시장 밖에 있는 고령자, 여성, 청년층을 유입시키고, 노동 생산성도 높여 노동력 부족에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지민 기자 aaaa3469@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먮뵒��
HTML�몄쭛
誘몃━蹂닿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