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대는 부품 고장에 운용 불가능
“전방 공중 정찰 차질 가능성”
육군이 운용하는 헤론 무인정찰기와 헬기 충돌 사고의 여파가 확산하고 있다.
지난 6일 공군 KF-16 전투기 민가 오폭 사고 이후 11일 만에 또다시 무인기 충돌 사고가 발생하면서 군의 총체적 기강이 해이해진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 |
육군 대형 정찰무인기가 지상에 있는 헬기와 충돌하는 사고가 17일 발생했다. 군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께 경기 양주시 광적면 소재 육군 부대 항공대대에서 착륙을 시도하던 군용 무인기 '헤론'이 착륙해 있던 다목적 국산 헬기 '수리온'(KUHC-1)과 충돌했다. 출동한 소방 당국은 약 30분 만에 헬기에 난 불을 껐다. 인명피해 없이 사고 헬기와 무인기 모두 전소됐다. 경기일보 제공. |
위원회에는 육군과 국방기술품질원 등 군 내 관련 부서 관계자들과 사고기 제작사인 이스라엘항공우주산업(IAI) 측 인원이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육군은 다양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사고 원인과 과정 등을 살펴보고 있다.
군 당국은 사고 직후 지상작전사령부 예하의 무인기 비행을 중단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육군 등에 따르면 17일 경기 양주시 광적면 육군 부대 항공대대에서 착륙을 시도하던 헤론이 비행장에 계류 중인 수리온 헬기와 충돌, 무인기와 헬기 모두 전소했다.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무인기가 약 30억원, 헬기가 약 200억원으로 도합 수백억원대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사고 직후 수습 과정에서 육군은 또 다른 헬기 1대가 손상을 입은 것을 확인했다.
배석진 육군본부 공보과장은 “추가로 다른 헬기 1대의 경미한 외부 긁힘이 있다.
운행에는 제한이 없지만, 후속 조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사고로 서북도서와 수도권 접적지역에 대한 공중감시 능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헤론은 군이 2016년 3대를 도입했다.
1대는 지난해 11월 북한의 위치정보시스템(GPS) 전파 교란으로 추락했고, 다른 1대는 부품 정비 문제로 운용이 불가능한 상태다.
나머지 1대마저 이번 사고로 소실되면서 대북 정찰에 일부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육군 지상작전사령부 예하 부대에선 무인기 비행을 중단하라는 지침이 내려지면서 전방지역 감시 공백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양승관 합동참모본부 공보차장은 “한·미 연합 정보자산과 상급부대의 다른 감시정찰 자산을 활용해 대북 감시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군은 헤론 외에도 국산 정찰 무인기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공군이 보유한 ‘글로벌 호크’나 정찰위성, 한·미연합 정보자산 등 다른 정찰 자산의 운용을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