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김포시(시장 김병수)가 20일 김포시의회가 시민 소통을 위한 1차 추경예산안을 전액 삭감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했다.
김포시가 홍보예산의 시급성과 민생직결을 호소하고 나섰으나 본예산 삭감에 이어 이번 추경예산도 삭감됐다.

특히 시 전체 홍보예산에 해당되는 홍보기획관이 편성한 예산은 시 보유 채널 운영 관리 및 시설물 관리예산으로 이루어진 기본적인 예산으로 본예산에 반드시 세워졌어야 했지만 1회 추경에서도 납득할 만한 명분 없이 삭감됐다.
이로써 시민만족도 99%에 달하는 김포마루는 제작 기획부터 표류하게 됐고 시민들이 가장 선호하는 카카오채널은 계속 운영이 중단된다.
타 도시와의 열띤 경쟁 끝에 유치한 '2025 대한민국 책의 도시'는 전국 단위의 홍보가 시급함에도 홍보영상 만들 예산조차 없는 상황이다.
그뿐만 아니라 김포시민의 날, 한강마라톤, 아라마린페스티벌 등 시민들이 누려야 하는 주요 행사와 축제에 대한 소통도 보도자료와 시 보유 SNS 채널에 올리는 방법 외에 트렌디하고 시민 도달률 높은 홍보는 불가능한 상황이 됐다.
본 예산 삭감 소식에 시민들은 “김포시만 시대를 역행하고 있어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김포시는 이러한 시민들의 의사를 전달했음에도 시의회는 본예산 의결 심의 내용과 같다는 말로 일축하며 홍보예산을 삭감했다.
김포시 관계자는 “시민 소통은 민생과 직결되는 예산이고 시급성을 호소했음에도 삭감이 되어 유감이다.
선택에 대한 책임과 시민 소통을 위한 대안을 제시했으면 좋겠다”며 “시는 시민을 위해 주어진 여건 속에서 어려움이 뒤따르더라도 최선을 다하는 한편 추경 요청을 지속적으로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포=이종구 기자 9155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