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가리 출신의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언드라시 시프(안드라스 쉬프·71)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행보에 반발해 앞으로 미국에서 공연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19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시프와의 전화 인터뷰를 갖고 이러한 내용을 보도했다.
시프는 트럼프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관련 발언은 물론 캐나다, 그린란드, 가자지구와 관련한 팽창주의적 위협, 독일 극우 정치인들을 지원하는 것 등에 놀랐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 같은 행동을 두고 '믿을 수 없는 괴롭힘'이라고 비난했다.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나 홀로코스트의 공포를 목격한 그는 이민자 대량 추방을 요구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모습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유대인이 삶의 터전을 잃고 쫓겨나던 때의 고통을 상기시켰다고도 했다.
시프는 "(트럼프 대통령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던 추악함을 가져왔다"며 "지금 벌어지는 일에 나는 동참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그러면서 그는 내년 봄 뉴욕 필하모니와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와 함께하기로 한 공연을 취소했다.
또 올가을 예정이었던 뉴욕 카네기홀에서 열리는 리사이틀 투어도 취소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프는 바흐, 모차르트 해석의 권위자로 정교하고 세련된 연주로 '피아니스트들의 교과서'라는 칭송을 받는다.
앞서 그는 고국 헝가리뿐만 아니라 러시아에서도 권위주의 대통령의 통치를 이유로 공연을 거부한 바 있다.
시프는 유럽 우익 운동에 대해서도 강하게 비판해왔다.
과거 그는 모국 헝가리의 민주주의가 극우 성향인 빅토르 오르반 대통령 치하에서 훼손되고 있다고 비판했으며, 2010년 이후 헝가리를 방문하지 않았다.
또 2013년 영국 BBC와의 인터뷰에서 '헝가리로 돌아가면 손이 잘릴 것이라는 협박을 받았다'고 말한 바 있다.
2000년대 초반 오스트리아에 거주했던 시프는 그곳 보수 정치인들의 반이민·반유대주의 언동을 강력히 비판했다.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후엔 러시아에서의 연주를 거부할 것이라고 선언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이후 미국 공연을 보이콧한 음악가는 시프가 처음이 아니다.
독일의 유명 바이올리니스트 크리스티안 테츨라프도 트럼프 대통령의 러시아 밀착 등이 우려된다며 미국 공연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