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서울 강남에서 자율주행택시 실증 시범운행을 확대하는 방침을 밝힌 가운데 업계에서는 운행 비율을 늘리는 등 자율주행 버스·택시 실증사업을 내실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21일 아시아경제 취재에 따르면 서울시는 강남구 시범운행지구에서 운행 중인 자율주행택시의 운행대수, 시간, 구간 확대를 준비하고 있다.
지난 19일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도 이같은 내용의 규제 개선 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자율주행택시 대수를 늘리고, 운행 시간도 기존 야간에서 주간까지 올해 중 확대하려고 한다"며 "구체적인 대수는 업체들의 신청을 받아봐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강남구에서는 시범운행 지역 일부인 약 11.7㎢ 구간에서 밤 11시부터 새벽 5시 사이 심야 시간대에 자율주행택시를 운행하고 있다.
이를 시범운행 전체 구역으로 늘리고, 운행 대수도 현행 3대에서 업체 신청에 따라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현재는 무료인 요금도 시범사업의 효용성 등을 따진 뒤 유료화를 검토한다.
서울시는 새벽 시간대 자율주행버스도 운행하고 있는데, 현재 1개 노선에서 올해 중 4개 노선으로 확대 예정이다.
이처럼 자율주행 운행을 확대하는 것은 기술 실증을 통해 데이터가 쌓여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운행 중인 자율주행 모빌리티들은 모두 운전사가 동승해야 해 '완전 무인' 자율주행은 아닌 상황이다.
완전 무인 상태의 '레벨 4' 단계에 닿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기술 실증, 데이터 수집이 필요하다.
미국과 중국에서는 이미 완전 무인 자율주행 택시가 도로를 달리고 있다.
업계에서는 해외에서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만큼 국내에서도 실증사업을 키울 때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서울시의회가 20일 주관한 '무인 자율주행 상용화 시대, 서울시 역할과 과제' 토론회에서 한지형 오토노머스에이투지 대표는 "서울에서도 지금까지 실증사업으로 (기술이) 어느 정도 검증은 됐다"며 "노선버스 하나 정도가 아니라 특정 구역 내 30~40%는 자율주행차가 다니게 하는 등 미국, 중국과 유사한 형태로 밀도 있는 실증사업이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차두원 포니링크 전략고문은 토론회에서 "2023년 8월부터 15개월 동안의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자율주행택시 '웨이모'가 호출형 승차공유 서비스 '리프트'와 동일한 수준의 점유율을 확보했다"며 "업체들은 2027년이 자율주행 기술의 '티핑 포인트'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