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귀율 과반 땐 교육 정상화 판단
등록 마감 대학들 “학칙대로 처리”
나머지 대학도 미등록생 처분 늘듯
“반신반의 학생들 생각 바뀔 수도”
총장협 “교수 믿고 돌아오라” 호소
정부 “복귀 더 미루면 교육 어려워”
연세대·고려대 등 의대생 등록 시한이 지난 5개 대학이 미등록자에 대한 후속 조치에 착수했다.
미등록자는 전부 제적될 예정인 가운데 대학과 정부는 “구제책은 없다”고 거듭 강조하고 있다.
연세대는 21일까지 복학 신청을 하지 않은 의대생들에게 ‘미등록 제적 예정 통보서’를 발송하겠다고 24일 밝혔다.
미등록자는 전체 재학생(881명)의 45% 수준인 398명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28일 제적 처리된다.
연세대(서울·원주캠퍼스)와 같은 날을 등록 시한으로 제시한 고려대·경북대·차의과대 의학전문대학원도 미등록자에 대한 조치에 들어갔다.
이들은 등록률을 밝히지 않았지만, 고려대도 절반가량이 등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려대의 경우 의대 학생회에서 등록금 미납 인증을 요구하는 등 조직적인 복귀 방해 행위가 있던 점을 고려하면 꽤 높은 복귀율이라는 평가다.
각 대학은 절반 정도가 복귀한다면 정상적인 교육이 이뤄질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등록 시한까지 돌아오지 않은 학생을 구제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다.
의대가 있는 40개 대학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 회장인 양오봉 전북대 총장은 이날 연세대 등의 복귀율에 대해 “복귀율을 55∼60% 정도로 생각하고 있었다.
과반이면 교육이 이뤄질 수 있다고 본다”며 “등록을 마감한 대학들은 원칙대로 학칙을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른 대학들도 속속 등록 마감 시한을 앞두고 있어 이번 주부터 미등록자에 대한 제적 등 조치가 잇따를 전망이다.
건양대는 이날, 서울대·이화여대·부산대·동국대는 27일, 경희대·인하대·전남대·조선대·충남대·강원대·가톨릭대는 28일까지 등록하라고 의대생들에게 통보한 상태다.
연세대 등에서 집단 제적이 현실화한 만큼 향후 다른 학교에선 등록률이 더 올라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의대생 사이에선 그간 ‘대학이 실제로 미등록자들을 제적하진 못할 것’이란 기대 섞인 관측이 나왔지만 이날 실제 각 대학이 제적 절차에 착수하면서 당황한 이들도 많은 분위기다.
수도권의 한 대학 총장은 “작년에 여러 차례 구제해준 경험이 있다 보니 등록하지 않은 학생들은 아직도 ‘설마 학교가 제적시키겠느냐’고 생각하는 것 같다”며 “미등록자들이 실제 제적되는 것을 보면 다른 학교 학생들도 생각이 바뀔 것이라 본다”고 말했다.
자녀가 비수도권의 한 의대에 다니는 학부모는 “설마설마했는데 등록 마감한 대학들이 제적 조치에 들어간다는 언론 보도를 보고 가슴이 철렁했다”며 “자녀한테 이러다 제적되어도 아무도 챙겨주지 않으니 일단 등록은 하라고 설득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 총장은 “40개 대학이 이번에는 학칙대로 하겠다는 원칙에 흔들림이 없다”며 학생들의 복귀를 촉구했다.
그는 “학생들은 복귀하면 의사 사회에서 고립될 수 있다는 두려움이 있겠지만 대학과 의대 학장, 교수들이 끝까지 나서서 보호할 것이다.
교수들을 믿고 돌아오라”며 “학생들이 믿을 것은 다른 선배나 대한의사협회가 아닌 교수”라고 강조했다.
그는 “의대생 사이에선 총장이나 교수는 정부 편이란 얘기도 있지만 저희는 학생 편이다.
지금 40개 대학 총장, 학장, 교수들 모두 학생들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라며 “의대생들이 요구하는 사안은 저희가 앞장서서 해결한다는 말씀드린다.
의대생들은 학교로 돌아와 달라”고 밝혔다.
교육부도 미등록 학생에 대한 구제는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연세대 등의 제적 조치에 대해 “제적 등 학사는 여러 차례 말했듯 학칙에 따를 것”이라며 “정부는 별다른 방침이 없고 별도의 구제책도 없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작년에 학사 유연화 조치, 휴학 승인을 해준 것은 정부가 물러난 것이 아니고 학생 보호를 위해 했던 것”이라며 “올해는 더는 학사 유연화나 대규모 휴학 승인을 하기 어렵다”고 거듭 강조했다.
교육부는 2026학년도 ‘3058명 선발’ 약속과 관련해선 우선 이달 말까지 각 대학의 복귀 추이를 보고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전원이 복귀하지 않더라도, 대부분의 학교에서 절반 이상이 복귀한다면 미등록자들은 제적시키고, 2026학년도에는 3058명을 선발하는 것으로 사태를 수습할 것으로 전망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의료계에서 ‘교육 대책이 마련되지 않아 복귀할 수 없다’고 하지만 지금 돌아오는 것이 교육 대책”이라며 “더 미루면 교육이 어렵다.
꼭 오기를 간곡히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세종=김유나 기자 yoo@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