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반년 이상 모유 먹은 아이, 발달 지연 위험 낮아져

출생 후 최소 6개월 이상 모유만 먹은 어린이는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 발달 지표의 지연 위험이 전체적으로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5일(현지시간) 이스라엘 KI 연구소 인발 골드슈타인 박사팀은 미국의학협회 저널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서 어린이 57만여명의 모유 수유 기록과 아동 발달 검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2014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임신 35주 이상에서 태어난 건강한 아기 57만532명(남아 비율 51.2%)의 모유 수유 여부와 수유 기간, 2~3세 때 한 번 이상 실시한 발달 검사 결과를 이용해 모유 수유와 발달 지표 간 연관성을 살펴본 것으로 전해졌다.


그 결과 최소 6개월 이상 모유만 섭취한 어린이는 모유 수유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보다 언어 및 사회적 발달 지표·운동 발달 지표의 지연 발생 위험이 약 27% 낮았다.
모유와 분유를 병행해서 먹은 어린이에 비해서도 약 14% 낮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모유 수유 기간의 차이가 있는 형제자매 3만7704쌍을 비교했을 때, 최소 6개월 이상 모유 수유를 한 어린이는 모유 수유를 하지 않았거나 수유 기간이 6개월 미만이 형제자매보다 신경 발달 장애 진단 위험이 27%가량 적었다.
발달 지표의 지연 위험 역시 9%가량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팀은 "어린이 발달 연구에서는 수유 방식 차이와 연관성 왜곡을 일으킬 수 있는 혼동 편향 변수를 배제하는 게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에서는 모유 수유와 발달 지표 간 독립적 연관성을 파악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해당 연구는 완전 모유 수유 또는 장기간 모유 수유가 발달 지연이나 언어 및 사회적 발달 장애 위험을 낮추는 것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며 "연구 결과가 모유 수유를 통해 아기의 초기 발달을 촉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한편 유아기는 영양 공급 등 수정 가능한 요인을 통해 건강한 신체 및 인지 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로 꼽힌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생후 6개월간 완전 모유 수유, 이후 최대 2년 이상 건강 보완 식품과 함께 모유 수유를 지속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정예원 인턴기자 ywju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