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여성 어린이 성상품화 논란…'언더피프틴'은 왜


15세 이하 여성 아동 청소년이 아이돌 가수가 되기 위해 경쟁하는 MBN 오디션 프로그램 '언더피프틴'(UNDER15)이 미성년자 성 상품화, 아동학대 비판에 휩싸였다.


언더피프틴 측이 이달 31일 첫 방송을 앞두고 공개한 홍보용 사진에는 초등학교 여학생 참가자들 아래 바코드가 달려 있다.
이들 대부분 진한 화장과 화려한 머리 스타일로 치장했는데, 일부는 어깨와 허리를 드러낸 의상을 입었다.
8~15세(2009~2016년생) 59명이 참가했으며, 이 중 만 8살(2016년생) 참가자는 다섯 명이나 된다.


사회단체들은 아동·청소년 상품화를 지적하며 언더피프틴 방송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민주언론시민연합(민언련)은 21일 성명을 내고 "어린아이들에게 공개적으로 경쟁을 부추겨 과도한 신체적·정신적 부담을 가하고, 성적 대상화 하는 행위는 명백한 아동 학대"라며 "단순한 방송 프로그램 논란을 넘어 사회적 차원에서 논의돼야 할 심각한 인권 문제"라고 비판했다.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는 20일 "여성 아동에게 신동·데뷔·성공이라는 언어로 아동의 성적 대상화를 긍정적인 것으로 오인하게 하고, 내재된 성적 대상화의 의미를 숨기고 장래를 위한 멋진 도전인 양 프로그램에 동원하는 것은 아동 노동 착취이자 성 착취"라고 지적했다.
이어 "제작사는 출연자들이 겪게 될 정서·신체상의 영향과 프로그램 콘셉트가 아동들에 대한 인식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을 우선 고려하라"고 강조했다.


교사들도 팔을 걷었다.
21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는 "여성 어린이는 여성 혐오적이고 아동 혐오적인 대한민국 사회에서 사회적 약자 중 약자"라며 "엔터테인먼트 산업 전반에 어린이·여성 출연자의 인권이 제대로 보장받고 있는지 돌아봐야 한다"고 지적하며 ▲MBN 방영 계획 전면 철회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및 성 상품화 기준 마련 ▲엔터테인먼트 산업 인권침해 전수조사를 요구했다.


전교조는 "케이팝 신동 발굴이라는 허울 좋은 껍데기는 여성 어린이들의 외모와 능력을 하나하나 뜯어보며 경쟁시키고 평가하는 것에 대한 죄의식을 마비시키기까지 한다는 점에서 더 악질적"이라고 강조했다.



TV 프로그램을 감시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는 "시청자는 '화려한 멀티미디어 효과와 서사'로 여아의 노래와 춤 기량을 학대나 착취로 인식하지 못하며 수용할 수 있다"며 "아동을 성적으로 대상화하는 방송 콘텐츠에 대한 정부 차원의 규제가 시급히 마련되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비판이 거세자 MBN 측은 "사회 각계각층의 우려를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프로그램 세부 내용은 물론 방영 여부 등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제작사는 다른 입장을 내놨다.
크레아 스튜디오 측은 25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방송분 일부를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제작사는 "참가자들은 본인의 참여 의사 확인 및 보호자 동의 하에 지원했으며 의상 및 스타일링 역시 참가자 보호자와 상호 논의를 거쳤다"고 해명했다.
이어 "어린 참가자들의 열정과 제작진의 진심을 확인하실 수 있을 거라 확신하며, 영상을 보고 평가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이슬 기자 ssmoly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