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AI 열풍에 中 구직자 절반 이상 "AI 업계서 일하고 싶어"

중국 구직자의 60% 가까이가 AI 관련 직종을 고려 중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계면신문 등 중국 매체는 중국 취업 플랫폼 즈롄자오핀이 전날 발표한 보고서를 인용해 "신흥 산업 영역에서 구직을 희망하거나 구직 활동 중인 사람 중 49.2%가 장차 AI 업계에 몸담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25일 보도했다.


AI가 1위를 차지했고, 신에너지 분야(41.7%), 첨단 제조업(36.3%), 주거 서비스업(24%), 국경 간 전자상거래(14.8%) 등이 인기를 끌었다.


직업별로는 구직자의 57.2%가 AI 기술자 등 AI 영역 관련 직업을 갖고자 한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AI 업종을 선택한 응답자들은 "새로운 직업에 더 많은 발전 전망이 있다"(24.3%)거나 "더 높은 임금을 받을 수 있다"(21.5%), "스스로 도전하고 더 큰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11.4%)고 답했다.


보고서는 올해 AI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중국산 AI 모델' 딥시크(DeepSeek)와 연관된 분야별 AI 통합이 속도를 내면서 AI 관련 신흥 직업들에 대한 수요 역시 늘었다고 짚었다.
또 인공지능과 양자기술 등 미래산업이 새로운 과학기술혁명의 방향을 잡고 있기에 구직자와 직장인들의 관심이 커졌다고 해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취업자가 전직을 희망하는 업종 1위는 IT 분야(32.5%)다.
이어 신에너지차(27.8%), 무역, 도매, 소매(22.5%), 에너지, 환경보호 산업(21.9%) 순이다.


이직하는 이유로는 '급여 수준과 복리후생에 대한 불만'이 작년 47.4%에서 48.8%로 증가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사업전망 불확실 및 사업 위축'(35.3%) 등이 뒤를 이었다.


보고서는 특히 '회사의 발전 전망이 불분명하다' 답한 사람의 비중이 크게 늘었다고 분석했다.
이어 "급변하는 시대, 직장인들은 회사가 발전 방향을 명확히 해줄 것을 기대한다"면서 "인재를 유치하고 유지하는 것에 집중하고 회사 내 평등과 존중하는 환경을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기업들도 적극적으로 인재 유치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즈롄자오핀 통계에 따르면 올해 2월 알고리즘 엔지니어와 머신러닝, 딥러닝 분야 채용 규모는 전년 대비 각각 46.8%, 40.1%, 5.1%씩 늘었다.
이들 직종의 평균 월급은 2만3510위안(약 477만원), 2만1534위안(약 436만원), 2만4015위안(약 487만원)으로 나타났다.
.


이달 초 연례 최대 정치행사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전략 육성 분야로 새롭게 거론된 '체화 지능'(embodied intelligence·실제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AI 로봇)과 관련한 로봇 알고리즘 엔지니어(41.4% 증가)와 로봇 디버깅 엔지니어(57.5% 증가), 산업용 로봇 엔지니어(6% 증가) 분야 채용도 증가했다.
이들 분야를 향한 구직자들의 지원율 역시 작년 대비 200% 안팎으로 늘어난 것으로 보였다.



김진선 기자 caro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먮뵒��
HTML�몄쭛
誘몃━蹂닿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