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프리 골드버그 애틀랜틱 편집장의 '미국 전쟁기밀 유출' 폭로 이후 그를 문제의 채팅에 참여시킨 장본인인 마이클 왈츠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경질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미 정치매체 폴리티코는 24일(현지시간) 왈츠 보좌관의 거취에 대한 결정이 공식화되지는 않았지만, 백악관 당국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일에 대한 언론 보도를 지켜보면서 하루나 이틀 안에 최종 판단을 내릴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익명을 요구한 행정부의 한 고위 관리는 왈츠 보좌관에 대한 대처 방법과 관련해 다른 행정부 직원들과 여러 차례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았다면서 "그들 중 절반은 왈츠 보좌관이 (자리에서)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고, 혹은 살아남아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누가 채팅방에 있는지 확인하지 않은 것은 부주의한 것이었다.
'시그널'에서 그런 대화를 한 것도 신중하지 못한 것이었다"며 "국가안보보좌관이라면 그렇게 무모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백악관 고위급 보좌관 2명은 트럼프 대통령이 난처한 입장에 처하는 것을 막기 위해 왈츠 보좌관이 사퇴해야 한다는 생각을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현대차그룹의 대미 투자 발표 행사에서 질문을 받고 "난 그것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애틀랜틱에 대해 "곧 망할 잡지", "잡지 같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앞서 애틀랜틱의 골드버그 편집장은 이날 미군이 예멘의 친(親)이란 후티 반군을 공습하기 전에 미국 외교안보라인이 전쟁 계획을 일반 메신저 공간에서 논의했으며 이 과정에서 자신이 '실수로' 단체 채팅 참가자에 포함됐다고 밝혔다.
이 채팅방에서는 무기 패키지, 목표, 시기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돼 있었다고 골드버그 편집국장은 전했다.
골드버그 편집장은 왈츠 보좌관이 실수로 상업용 메신저인 '시그널'에 자신을 추가했으며 이에 따라 실제 공습이 이뤄지기 약 2시간 전인 지난 15일 오전 11시 44분(미 동부시간)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의 '전쟁 계획'을 공유받았다고 미 공영라디오 NPR 등 언론에 설명했다.
국회와 전직 고위급 인사들 사이에선 안보불감증 논란이 지속됐다.
과거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을 보좌했던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이날 미 CNN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이 사건을 접하고는 "말문이 막혔다"고 했다.
그러면서 "어느 누구도 '시그널'을 사용할 것이라곤 상상도 못 했다"며 "만약 시그널이 미 정부의 보안 조치가 강화된 소통채널과 같다고 생각했다면, 다시 생각하라"고 꼬집었다.
민주당에서는 기밀정보 유출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며 청문회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는 "정부 직원이 이렇게 민감한 군사 작전에 대한 정보를 유출했다면 조사를 받고 확실하게 처벌받아야 한다"면서 상원 차원의 대응을 촉구했다.
연방상원 군사위원회 소속인 잭 리드(민주·로드아일랜드) 의원은 이번 사건에 대해 "지금까지 목격한 보안 사고 중 심각한 사례 중 하나"라고 비판했다.
그는 또 "미국 장병의 생명이 걸린 군사 작전은 최대한 신중하게 처리해야 하고 안전한 통신 채널을 통해 이뤄져야 한다"면서 "트럼프 행정부가 보여준 부주의는 놀라울 정도"라고 지적했다.
연방하원 군사위원회 소속인 패트 라이언(민주·뉴욕) 의원은 "공화당이 당장 이 사건에 대한 청문회를 열지 않는다면 내가 직접 열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특수부대 '그린베레' 출신인 왈츠 보좌관은 연방 하원의원(플로리다) 시절 중국특위에 몸담으며 핵심광물에 대한 중국 의존을 줄이고, 미국 대학과 학계를 중국의 간첩 활동에서 보호하기 위한 법안을 발의하는 등 대중국 매파로 분류되는 인물이다.
그는 또한 이란에 대해서도 강경한 입장을 취할 것을 주장해왔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