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시 개버드 미국 국가정보국(DNI) 국장이 "북한은 언제든 추가 핵실험을 할 준비가 돼 있다"고 25일(현지시간) 밝혔다.

ㅐ
개버드 국장은 이날 상원 정보위원회의 모두발언 자료에서 "북한은 미래 협상에서의 지렛대로 그들의 증대하는 능력을 보여주기 위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비행 실험을 계속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북한 지도자 김정은은 미국의 군대와 동맹국, 미국의 본토를 타깃으로 삼을 수 있는 더 강력한 전략·재래식 역량을 추구하고 있다"며 "이는 북한의 영향력과 위상을 강화하고 정권을 방어하며 적어도 암묵적으로 핵무기 보유국으로 인정받기 위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북·러 군사 협력 강화에 대한 우려도 표명했다.
개버드 국장은 "러시아와의 공고화된 전략적 파트너십은 김정은에게 더 많은 재정·군사·외교적 지원을 제공하고 이런 목표를 강화하고 있다"며 "이는 중국에 의존하고 지원을 받기 위해 중국의 조건에 따를 필요성을 줄이고 북한군에 진정한 전투 경험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개버드 국장은 "김정은은 전략적 무기의 진전, 러시아와의 관계 심화, 북한의 경제적 내구성을 미국의 비핵화 요구에 대한 협상력 강화 및 제재 완화 필요성 감소(요인)로 보고 있다"고 평가했다.
DNI는 이날 별도로 공개한 '2025 연례 위협 평가 보고서(ATA)'를 통해 "김정은은 전략적 무기 프로그램을 체제 안보 보장 수단이자 국가의 자존심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협상으로 이를 포기할 의사가 없다"고 진단했다.
김 국무위원장의 오랜 목표로는 ▲국제적인 핵무기 보유국 지지 확보 ▲한반도 내 미군 감축 ▲북한 경제에 대한 국가 통제 확대 등을 언급했다.
보고서는 북한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 장기화로 더욱 대담해질 위험이 있다고도 봤다.
보고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지속이 의도하지 않은 대규모 전쟁으로의 비화, 핵무기 사용 가능성, 중·동·북부 유럽을 중심으로 높아지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동맹국들의 불안정, 더 대담해진 중국과 북한 등 미국의 전략적 리스크를 영속화한다"고 썼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