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35세 전에 가임력 검사"…난임시술 성공률 40대 중반부턴 떨어져

난임시술이 매년 증가해 2022년 한해 20만건을 넘어섰다.
난임시술로 임신에 성공할 확률은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낮아져 40대 중반 이후엔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6일 난임시술 건수와 난임 원인, 임신율 등 난임시술 관련 세부내용을 담은 '통계로 보는 난임시술' 책자를 처음 발간했다.


2022년 기준 난임시술을 시행한 기관은 201곳, 시술 건수는 20만7건이었다.
난임시술 건수는 매년 꾸준히 늘어 2019년 14만6354건과 비교하면 3년 만에 36.7% 증가했다.
결혼 연령이 높아지는 데다 난임시술에 대한 정부 지원이 확대되는 추세여서 2023년 이후에도 난임시술은 계속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난임 원인별로 보면 여성만 난임인 경우가 64.2%, 남성만 난임인 경우 15.0%, 남녀 모두 난임인 경우가 20.8%였다.


20만건 중 체외수정시술이 16만6870건으로 83.4%를 차지했고, 인공수정시술은 3만3137건으로 16.6%였다.
인공수정은 여성의 자궁 내로 운동성 높은 정자를 직접 주입하는 시술이며, 체외수정은 난자와 정자를 채취해 체외에서 배양·수정한 후 이를 자궁 내에 이식하는 시술이다.
체외수정은 다시 신선배아와 동결배아 이식으로 나뉜다.
인공수정은 줄고 체외수정은 늘어나는 추세라고 심평원은 설명했다.


2022년 기준 난임시술을 받은 대상자는 총 7만8543명으로, 평균 연령은 37.9세였다.
체외수정시술을 받은 사람들의 연령대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난임시술 완료 후 초음파 검사에서 임신낭이 확인된 경우의 비율인 임신율은 체외수정이 평균 36.9%, 인공수정이 13.0%였다.
두 시술 모두 대체로 연령대가 낮을수록 임신율이 높고, 40세 이후엔 급격히 떨어졌다.


체외수정 중에서도 신선배아 임신율은 25~29세가 43.8%로 가장 높고, 30~34세 42.9%, 35~39세 37.5%, 40~44세 20.5%로 점점 줄다가 45세 이상은 4.5%로 급감했다.
동결배아 체외수정 임신율도 25~29세엔 50.9%로 절반이 넘지만 30대엔 40%대, 40대 초반엔 30%대로 낮아진 후 45세 이상에선 9.4%로 크게 낮아졌다.
40세 이상을 1세 단위로 나눠 임신율을 비교해도 1세가 많아질수록 임신율이 눈에 띄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공수정의 경우 체외수정보다 대체로 성공률이 낮았는데, 25세 미만이 17.3%로 가장 높고 30~34세 14.5%, 40~44세 7.3% 등으로 낮아지다 45세 이상에선 0.7%로 극히 낮은 임신율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초혼 연령이 높아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난임 시술 인구가 앞으로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임신 계획이 있는 부부라면 가능하면 일찍 의료기관을 방문해 검사받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이정렬 분당서울대병원교수는 "적어도 35세 이전에는 의료기관을 방문해 가임력 검사를 받고 자연임신 시도를 우선하되 필요하다면 적기에 난임시술을 받으라"고 권유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쎈Ŧ逾믭옙占�
HTML占쎈챷彛�
沃섎챶�곮퉪�용┛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