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서 잇따르는 대형 산불 연구
30여년 전보다 기온 최대 2도 올라
30% 더 건조해지고 풍속 10% 증가
“앞으로 더 심화… 지구온난화 징후”
영남 지역 산불로 인한 피해가 연일 확산 중인 가운데 이번 대형 산불에 대해 “인간이 주도한 기후변화로 인해 강화됐다”는 국제 기후과학자 네트워크의 평가가 나왔다.
산불이 동시다발화하고 대형화한 이유로 꼽히는 고온·건조·강풍 등 3개 기상 조건이 인간활동에 따른 기후변화로 과거 대비 현재 크게 강화됐다는 분석 결과를 내놓은 것이다.
![]() |
지난 25일 오후 지난 21일 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산등성이를 타고 하동군 옥종면 안계마을 인근으로 확산되면서 소방당국을 긴장케하고 있다. 뉴시스 |
현재 일본 혼슈 지역에서도 대형 산불이 잇따라 주민 수천명 대상으로 피난 지시가 내려진 상태다.
연구진은 이달 21∼23일 기준으로 우리나라 상황에 대해 “건조한 토양과 강풍, 비정상적으로 높은 기온이 지속돼 산불이 빠르게 확산했다”며 “한국은 기후변화로 인해 춥고 습한 겨울에서 따뜻하고 건조한 환경으로 변해 화재가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고 결과적으로 산불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연구진은 구체적으로 이번 산불 피해 지역의 과거(1950∼1986년)와 현재(1987∼2023년)의 기상 조건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이 지역에서 과거 대비 기온이 최대 2도까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혼슈와 함께 한국 남부 지역은 일 강수량도 최대 2㎜까지 낮아져 최대 30% 더 건조해진 모습이었다.
바람도 일본 북부 해안 지역과 함께 한국 해안 지역에서 최대 시속 4.8㎞까지 10% 빨라졌다.
![]() |
유사한 대형 산불이 과거에는 2월과 4월에 빈번하게 발생했지만, 최근 들어선 3월에 집중되고 있다는 분석도 내놨다.
연구진은 이번 산불 피해를 촉발한 기상 조건이 앞으로 점점 더 심화할 것이라며 이는 전형적인 지구온난화의 징후라고 설명했다.
엘니뇨 등 자연적인 기후 변동 요인의 경우 부차적이고 인간 활동에 따른 기후변화가 이런 상황의 주된 요인이라고도 했다.
이 연구에 참여한 다비데 파란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리서치 디렉터는 “최근 몇 주간 동아시아에는 기록적인 강설과 수십년 만의 최악의 산불이 발생했다”며 “기후변화는 단순히 지구 온도를 높이는 게 아니라 여러 극단 상황을 증폭시켜 이 지역에 불과 얼음으로 인한 재난을 가중한다”고 설명했다.
김승환 기자 hwan@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