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가동 초대형헬기 5대 그쳐
4월 2대 추가되지만 여전히 부족
큰 산불 현장마다 3000ℓ 3대 필요
현재처럼 동시다발 땐 최소 100대
당국 보유 50대 중 33대 20년 초과
화재 땐 민간업체서 빌려 진화 나서
진화 작업 중 추락 헬기도 임차 헬기
산불 초기 진화의 ‘골든타임’을 확보를 위한 대형 진화헬기 부족이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초대형 진화헬기 확충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갈수록 산불이 대형화·장기화면서 실제 산불 진압효과가 큰 5000ℓ이상의 초대형헬기 도입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 |
현장 수습 26일 경북 의성군 신평면에서 산불 진화 작업 중 헬기가 추락해 기장이 목숨을 잃은 가운데 소방 대원들이 현장을 수습하고 있다. 의성=뉴스1 |
진화작업 중 전신주 선에 걸려 추락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사고로 사고 헬기를 몰던 기장 A(73)씨가 사망했다.
추락 헬기는 강원도가 민간업체에서 임차한 헬기로 담수량 1200ℓ의 S-76 기종이다.
1995년 7월 생산돼 30년 가깝게 운항했다.
추락헬기는 이날 낮 12시44분 세 번째 진화지원을 위해 이륙한 지 7분 만에 추락했다.
산림청이 보유한 산불진화 헬기는 모두 50대다.
담수량 8000ℓ의 초대형헬기(S64) 7대와 담수량 3000ℓ의 대형헬기(KA-32) 29대, 2000ℓ의 중형헬기(KUH-1) 3대, 800ℓ 소형헬기(SA350-B2) 4대, 600ℓ의 소형헬기(BELL206L-3) 7대로 구성돼있다.
초대형헬기는 현재 5대만 가동 중이다.
1대는 엔진 장착 중으로 다음달 5일부터 운행하며, 나머지 1대는 제작사가 있는 미국에서 엔진 검사 후 다음달 말 들어온다.
현재 경북 의성, 경남 산청, 울산시 울주 등 대형산불 현장에는 30대∼35대가 투입돼 진화 중이다.
15대가 정비 등을 문제로 운행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주력 기종인 KA-32 헬기 중 8대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부품을 교체하지 못해 지난해 상반기부터 운용이 중단됐다.
내년엔 가동 못하는 헬기가 14대로 늘 것으로 예상된다.
![]() |
![]() |
전문가들은 지상 인력과 소방차량 접근이 쉽지 않은 탓에 불길 확산을 막고 강도를 낮출 수 있는 헬기진화가 초기 진화 여부를 가른다고 입을 모은다.
현재 산불진화 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진화헬기는 최대 42대이지만 일정 비행시간 이후 정비를 받아야 해 운용 가능한 헬기가 전부 뜰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일반적으로 초대형 헬기의 경우 15시간 비행할 때마다 이틀 정도 정비해야하며, 대·중형 헬기는 50시간 비행하면 사흘정도 정비 기간을 가져야 한다.
산불 장기화로 연기 발생 등 시계 여건도 헬기 가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
추락 헬기. 강원도 제공 |
지금처럼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산불이 발생하면 100대 이상 돼야 초기 대응이 가능하다는 진단이 나온다.
이렇다보니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민간업체에서 헬기를 임차해 산불을 끄고 있다.
인명구조와 환자 병원 이송 등이 주임무인 소방헬기도 산불 발생시 진화작업을 수행한다.
그러나 소방헬기 32대 중 대형헬기는 4대 뿐이어서 사실상 진압효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헬기 노후화도 심각하다.
지난해 10월 기준 산림청 보유 헬기의 66%에 달하는 33대가 도입 20년이 초과된 것으로 나타났다.
30년 이상된 산불진화 헬기도 12대에 달했다.
2021년 이후 지난해까지 진화헬기 결함으로 작전을 수행하지 못한 건도 82건이었다.
대전=강은선 기자, 조성민 기자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