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배달용 전기이륜차 구매보조금 10→30%…충전시설도 확충


서울시, 보급 확산 위해 상반기 지원규모 대폭 확대

서울시는 전기이륜차 보급 확산을 위해 2025년 상반기 지원 규모를 2배 이상 확대한다고 밝혔다. /더팩트 DB
서울시는 전기이륜차 보급 확산을 위해 2025년 상반기 지원 규모를 2배 이상 확대한다고 밝혔다. /더팩트 DB

[더팩트ㅣ정소양 기자] 서울시는 전기이륜차 보급 확산을 위해 상반기 지원 규모를 대폭 확대한다고 27일 밝혔다.

서울시에 따르면 기존 10%였던 배달용 차량의 시 구매보조금을 30%로 확대하고, 소상공인 차량의 구매보조금 20%를 추가한다. 또한 배터리 교환형(공유형) 전기이륜차에도 구매보조금 30%를 지원한다.

추가 보조금 등 지원이 2배 늘어나면 신형 배터리 교환형 전기이륜차와 중고 내연이륜차 가격이 비슷해져 배달업 종사자들의 전기이륜차 전환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충전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KS표준 교환형 충전시설도 확충한다. 선도적으로 KS표준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50기를 설치해 충전 불편을 해소할 계획이다. 시는 배달업이 활발한 안암동, 신림동 등 대학가와 주요 상권 밀집 지역 20개 행정동에 우선으로 충전 인프라를 구축해 배달 종사자의 충전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민관 협력으로 사용자 부담 완화도 나선다.

제조·수입사가 협력해 50만원의 가격을 할인하면 시 보조금도 최대 15만원 추가 지원된다. 또한 제조·수입사는 배달업에 필요한 배달용품을 무상으로 지원하는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예정이다. 차량 가격 할인에 참여하는 제조사는 공고를 통해 모집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디앤에이모터스, 대동모빌리티, 와코, 이쓰리모빌리티, 젠트로피 등 10개 사가 참여 의사를 밝혔다.

배터리 교환형 충전사업자는 배터리 이용료를 최대 20%가량 할인할 예정이다. 월평균 배터리 이용료가 16만원인 경우, 13만원 수준으로 낮아져 운행 시에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사업에는 현재 디앤에이모터스, 젠트로피 등 2개 사가 참여의사를 밝혔다.

배달플랫폼, 배달대행업체, 프랜차이즈 업체 등 배달업계와 협력해 배달업 종사자가 전기이륜차에 대한 정보를 쉽게 접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전기이륜차 홍보·사용도 촉진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보조금 지원 확대 △KS표준 교환형 충전시설 확충 △민관 협력을 통한 지원 확대 등 3가지 방안을 마련하고 지원에 나선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무관함. /더팩트 DB
서울시는 △보조금 지원 확대 △KS표준 교환형 충전시설 확충 △민관 협력을 통한 지원 확대 등 3가지 방안을 마련하고 지원에 나선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무관함. /더팩트 DB

상반기 보조금 신청접수는 내달 1일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을 통해 진행된다. 보조금은 규모·유형, 성능에 따라 차등 책정된다.

보조금은 최대 지원액 기준 △경형 140만 원 △소형 230만 원 △중형 270만 원 △대형 300만 원 △기타형 270만 원이다.

접수일 기준 서울시에 30일 이상 거주하거나 주사무소로 사업자등록을 한 개인, 개인사업자, 법인, 공공기관 등이다. 개인은 2년 내 1인당 1대 구매할 수 있다. 개인사업자·법인·단체 등은 신청 대수에 제한은 없으나, 5대 이상을 구매하는 경우 사업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 친환경차량과, 120다산콜센터, 전기차 통합콜센터, 서울시 누리집,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권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도심 내 활용이 많은 배달 이륜차가 전동화되면 소음과 매연, 대기오염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어 민관이 힘을 모아 조용하고 깨끗한 서울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jsy@tf.co.kr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