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26일(현지시간) 밝혔다.
지난 12일 철강·알루미늄 관세 발효에 이어 두 번째 품목별 관세 조치를 공식화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대통령 집무실인 오벌 오피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가 할 일은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라며 이 조치는 "매우 겸손한(very modest)" 조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에서 생산된 차량은 관세는 전혀 없다"고 설명했다.
이번 자동차 관세 조치는 다음 달 2일 예정된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나왔다.
미국의 자동차 관세율은 승용차 기준 현재 2.5%에서 트럭 수준인 25%로 올라가게 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우리나라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우리의 일자리와 부를 빼앗고, 수년간 우리에게 많은 것을 빼앗아 간 국가들에게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조치로 미국은 지난 12일 철강·알루미늄 관세 발효에 이어 자동차 관세 발표까지 2개 품목에 대한 관세 조치를 공식화 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대로 반도체, 의약품 등에 대한 25% 관세 부과 조치까지 시행될 경우 향후 관세 전선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이 구리 관세까지 검토하고 있다는 블룸버그 통신 보도가 나오는 등 향후 추가 관세 발표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 현대차를 비롯한 우리 기업은 이번 관세 조치로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국은 미국의 3대 자동차 수입국으로,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자동차 무역 불균형을 손봐야 할 국가 중 하나다.
미국 상무부 산하 국제무역청(ITA) 통계에 따르면 미국이 2024년 한국에서 수입한 자동차는 금액 기준 366억달러로 멕시코(785억달러), 일본(397억달러)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미국이 한국에서 수입한 자동차 수량은 같은 해 기준 153만5616대로 멕시코(296만1598대)에 이어 2위다.
한국의 대미 수출에서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중 역시 전체 품목 중 가장 크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24년 한국의 대미 수출은 역대 최대인 1277억8600만달러로, 이 가운데 자동차 수출은 347억4400만달러에 달해 27.1%로 최대 비중을 차지했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