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유럽 하늘에 나타난 '나선형 푸른빛'…머스크 때문?

신비한 느낌의 나선형 푸른빛이 유럽 밤하늘에 나타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지난 24일(현지시간) 프랑스 일간 르피가로는 "이날 밤 9시께 프랑스와 스웨덴 등 여러 유럽 국가의 하늘에서 신비한 빛이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이를 두고 기상 예보 전문 플랫폼 ‘메테오 프랑스 콩투아즈’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빛의 사진을 올린 뒤 "프랑스 상공에서 로켓이 궤도 이탈 중에 내뿜은 가스 구름이 관측됐다"며 "이 가스 구름은 고도 200∼300㎞ 높이의 상공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우주개발업체 스페이스X의 '팰컨 9'와 관련돼 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팰컨 9'은 미 국가정찰국(NRO)의 군사 위성 발사 임무인 'NROL-69'를 수행하기 위해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프랑스 시각으로 이날 오후 6시 48분 발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매체에 "로켓이 발사된 후 약 3시간 이내 상단부가 지구 궤도를 이탈하면서 남은 연료를 우주 공간에 방출하는 현상과 관련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2022년 여름 뉴질랜드와 2023년 1월 하와이, 같은 해 4월 알래스카에서도 스페이스X 발사 뒤 중 이 같은 현상이 관찰된 바 있다.
당시 알래스카 대학 페어뱅크스 지구물리학 연구소의 우주 물리학자인 돈 햄튼 박사는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에 “로켓에 버려야 할 연료가 있는 경우가 있다"며 "높은 고도에서 연료를 반출하면 연료가 얼음으로 변하는데, 그것은 커다란 구름 소용돌이처럼 보인다.
분사된 연료가 나선형 모양으로 결정화하며 결정이 태양 빛을 받게 된다”고 밝혔다.


'팰컨 9'은 스페이스X의 최고 주력 발사체로, 우주 개발 역사상 재사용이라는 개념을 최초로 도입했다.
기존 발사체와 비교해 절반가량의 발사 비용과 높은 효율성을 지녔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국 연구진이 개발에 참여한 미 항공우주국(NASA)의 차세대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SPHEREx)’가 지난 12일 '팰컨 9' 발사체에 실려 우주로 발사되기도 했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