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에 수입되는 자동차에 다음 달 3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이 한국을 포함한 주요 교역국을 '무역 사기꾼'으로 칭하며 "불공정한 무역 관행이 곧 바뀔 것"이라고 주장했다.

2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은 이날 자동차 관세 발표와 관련해 기자들에게 "외국의 무역 사기꾼(trade cheaters)들이 미국을 외국산 부품의 저임금 조립공장으로 만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문제가 우리 국방과 제조업을 약화해 국가 안보에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나바로 고문은 특히 한국과 일본, 독일을 특정해 비판했다.
이들 국가가 미국 기업의 해외 자동차 판매 능력을 약화했다며 "곧 바뀔 것"이라고 말했다.
백악관도 이날 자동차 관세 부과 포고문에서 트럼프 1기에 개정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등이 긍정적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으며, 자동차와 부품 수입에 따른 국가 안보 위협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설명자료에서도 한미FTA 개정과 후속 협상 등으로 자동차와 부품 수입에 따른 국가안보 위협이 완화되지 못했다면서, 새로운 관세의 목표는 미국이 국내 산업 기반을 유지하고 국가안보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행정부 때인 2019년 자동차 등의 수입이 국가안보에 위협이 되는지 조사하라고 지시했다.
자동차 수입이 안보에 위협이 된다는 판단이 나왔는데, 당시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았다.
이날 관세 부과 결정을 발표함에 따라 자동차가 대미 수출품 가운데 하나인 한국은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지난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 규모는 전체 대미 수출의 27%인 347억4400만달러(약 51조원)다.
전 세계 자동차 수출액(707억8900만달러)의 거의 절반(49.1%)을 차지했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