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트럼프 車관세 폭탄에…美 차량 가격 수천만원 오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산 자동차·부품에 25% 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미국 내 차량 가격이 적게는 수백만원에서 많게는 수천만원까지 뛸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를 상대로 한 무차별적인 관세폭격이 인플레이션을 낳아 오히려 미국 소비자들에게 막대한 비용 청구서로 돌아올 것이란 관측이 커지고 있다.



27일(현지시간) 월가 분석을 종합하면 트럼프 행정부가 4월3일 자정부터 순차적으로 발효하는 자동차·부품에 대한 25% 관세 조치로 미국 내 자동차 가격이 적게는 4500달러(약 660만원)에서 많게는 1만5000달러(약 2200만원)가량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대형 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관세 인상으로 차량 한 대당 가격이 4500달러 이상, 투자사인 번스타인과 구겐하임은 각각 6700달러, 6000~7000달러 가량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골드만 삭스는 적게는 5000달러에서 최대 1만5000달러까지 차량 가격이 뛸 것으로 내다봤다.
트럼프 행정부가 완성차뿐 아니라 엔진·변속기·파워트레인·전기 구성품 등 핵심 부품에도 25% 관세를 매기기로 하면서, 미국 내에서 생산되더라도 외국산 부품을 가져다 쓴 차량은 가격이 오를 전망이다.
북미 자동차 공급망이 고도로 통합된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 적용을 받는 부품에는 관세 부과를 일단 유예한 것도 자동차 업계의 비용 부담과 인플레이션을 우려한 조치로 분석된다.


JP모건 또한 이번 관세 조치가 소비자에게 완전히 전가될 경우 미국 내 자동차 가격이 평균 11.4%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조치로 인한 차량 가격 상승 전망분(5.7%)의 두 배에 달한다.
자동차 25% 관세 부과의 충격이 더 클 것으로 본 것이다.


미국 자동차 시장조사업체 에드먼즈의 제시카 캘드웰 이사는 "자동차 가격이 오를 것이란 예상은 합리적"이라며 "이는 이미 지속적인 구매력 우려에 시달리고 있는 업계에 추가 과제를 안겨준다"고 지적했다.


관세발(發) 카플레이션(자동차+인플레이션) 우려는 중고차 가격 역시 밀어 올리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공급망 불안 여파로 출고 1~3년이 지난 중고차 물량 자체가 적고, 여기에 관세 불확실성까지 겹치면서 4~6년이 된 차량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글로벌 자동차 공급망이 긴밀하게 얽혀 있는 상황에서 이번 자동차 관세 인상은 미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란 지적이다.
미 상무부 무역통계에 따르면 2024년 미국이 수입한 외국산 승용차·경량 트럭은 약 800만대로 전체 차량 판매량의 절반 수준이다.
금액 기준으로는 2435억달러에 이른다.
수입 부품에 대한 관세 부과까지 발효되면 미국 내 차량 가격 상승폭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존 엘칸 스텔란티스 회장은 이날 투자자들과의 통화에서 "미국 내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저렴한 가격"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관세 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으로 미국 내 수요가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 자동차 기업 주가는 이번 관세 조치로 급락세다.
미 뉴욕 주식시장에서 이날 동부시간 오후 3시32분 현재 제너럴 모터스(GM)은 7.11% 내리고 있다.
포드는 3.44%, 스텔란티스는 0.84% 약세다.
반면 미 전기차 업체 테슬라는 2.09% 오르고 있다.
테슬라는 미국 내에서 판매하는 차량은 미국에서 생산해 상대적으로 관세 피해가 적은 것으로 전해졌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