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산불, 서울면적 80% 삼켰다…인명피해 65명으로 늘어

지난 27일 경북 영양군의 야산에서 불길이 번지고 있다.
뉴스1

28일 울산·경북·경남 등에서 발생한 산불이 지속되며 사상자가 65명으로 늘어났다.
아직 진화 작업이 끝나지 않은 만큼, 앞으로도 인명피해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기준 산불 피해가 극심한 경북지역에서 중상 1명, 경상 4명이 추가됐다.

이에 따라 산불사태로 인한 인명피해는 사망 28명, 중상 9명, 경상 28명 등 65명으로 늘어났다.

당국의 진화작업이 아직 진행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인명피해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날 오전 5시 기준 중대형 산불로 진화작업이 진행되는 곳은 경북 의성(진화율 95%)과 안동(85%), 영덕(65%), 영양(76%), 청송(89%), 경남 산청·하동(86%) 등 6곳이다.
평균 진화율은 83%다.

전북 무주와 경남 김해, 충북 옥천, 울산 울주 언양·온양 등 5곳은 앞서 진화작업이 마무리됐다.

당국은 이날 헬기 126대, 인력 6천976명, 장비 936대를 동원해 인명피해 최소화에 중점을 두고 진화 작업에 나섰다.

이번 산불로 산림 4만8150㏊ 규모가 피해 영향에 놓였다.
2000년 동해안 산불 피해를 뛰어넘는 역대 최악 상황이다.

이는 축구장 크기(0.714㏊)로 환산할 경우 약 6만7400개, 여의도 면적(290㏊)의 166배, 서울 면적(6만523㏊)의 80%, 제주도(18만5027㏊)의 26%에 달한다.

산불 사태로 이재민 3만3000여명이 발생했다.
이중 아직 귀가하지 못한 주민은 2407세대·8078명으로 파악됐다.
시설물 피해도 계속 늘어나 주택과 농업시설 등 3481곳이 산불 피해를 본 것으로 파악됐다.

이한경 중대본 차장(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재한 중대본 회의에서 “오늘도 순간 최대 풍속이 초속 20m의 매우 강한 바람이 예상된다”며 “대기가 건조할 것으로 전망돼 기상 여건이 좋지 않지만, 가용한 자원을 총동원해 산불 진화율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이영주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세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바람이 상당하기 때문에 작은 점화원만 있어도 불로 이어질 수 있는 환경”이라며 “사람들이 실수로 불을 내는 경우가 산불 원인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시기인 만큼 각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진우 기자 realstone@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먮뵒��
HTML�몄쭛
誘몃━蹂닿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