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윤 일병 사건' 유가족 "질식사 조작한 군대 잘못 밝혀야"


"김용원, 군인권보호관 칭하기 치욕스럽다"

고 윤승주 일병 유가족이 28일 오전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윤일병 사망사건 11주기를 맞아 군인권보호관 김용원에 대한 입장 발표를 하고 있다. /뉴시스
고 윤승주 일병 유가족이 28일 오전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윤일병 사망사건 11주기를 맞아 군인권보호관 김용원에 대한 입장 발표를 하고 있다. /뉴시스

[더팩트ㅣ이윤경 기자]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가 선임병들의 집단 폭행으로 숨진 고 윤승주 일병 사건 은폐·조작 의혹을 규명해달라는 진정을 28일 심의한 가운데 유가족들이 "군의 잘못을 밝혀달라"고 촉구했다.

윤 일병 어머니 안미자 씨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인권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열흘 후면 제 아들 승주가 군대에서 사망한 지 11년이 된다. 승주를 살해한 자들은 이미 법의 심판을 받았고 또 받고 있다"며 "그러나 장기간 구타에 의한 사망이 아니라 만두 먹다가 질식해서 죽었다고 조작하고 은폐했던 군대의 잘못은 아직도 밝히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안 씨는 "그러던 중 2022년 군인권보호관이 드디어 인권위 내에 출범했고 많은 군 유가족들이 쌍수를 들어 환영했다"면서 "하지만 군대 내 약자를 보호해야 할 군인권보호관인 김용원이 이 귀한 자리를 자신의 정치적인 도구로 더럽히고 욕되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보복하듯이 '윤승주 일병 진상규명'사건을 각하하고 또 항의하는 유가족들과 인권활동가들을 고소, 고발해 욕보이는 것으로도 모자라 이제는 계엄세력과 윤석열 지킴이로 전락해 버렸다"며 "김용원 씨는 남은 진정 사건의 심의에 의견을 내지 말아야 한다"고 꼬집었다.

윤 일병은 지난 2014년 육군 28사단에서 복무하던 중 선임병들의 폭행과 가혹행위로 숨졌다. 윤 일병 유족은 지난 2023년 4월 사인 은폐·조작 의혹의 진실을 밝혀달라며 인권위에 진정을 냈지만 같은 해 10월 각하됐다.

유족은 '보복성 각하'라며 반발했다. 이후 군인권센터와 지난해 1월 다시 진정을 넣었고 김용원 상임위원에 대한 기피 신청도 제출했다. 인권위는 이날 오전부터 약 2시간 동안 군인권보호위원회(군인권소위)를 열고 윤 일병 사건의 진정 내용을 비공개 논의, 재상정하기로 결론냈다.


bsom1@tf.co.kr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