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뉴욕증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나스닥 2.7%급락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정책 논란 속에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뉴욕증시가 급락했다.


2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15.80포인트(-1.69%) 하락한 4만1583.90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12.37포인트(-1.97%) 떨어진 5580.94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481.04포인트(-2.70%) 하락한 1만7322.99에 거래를 마쳤다.
S&P 500 지수는 이날 지난 10일(-2.7%) 이후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지난 1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래로는 두 번째로 큰 일일 낙폭이다.


특히 2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8%, 전월 대비 0.4% 올라 예상치를 웃돌았다.
2월 실질 개인소비지출 증가율이 전월 대비 0.1%(명목 증가율 0.4%)에 머문 것도 인플레이션과 소비 둔화에 대한 우려를 키웠다.


이 같은 상황에서 메타와 아마존 등 대형 기술주가 하락하면서 시장에 적지 않은 하방 압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
이날 테슬라(-3.53%)와 엔비디아(-1.58%), 메타(-4.29%), 아마존(-4.33%), 마이크로소프트(-3.02%), 알파벳(-4.88%), 애플(-2.68%) 등 '매그니피센트 7' 종목이 일제히 급락했다.


2021년 이후 미국 기업공개(IPO) 시장 최대어로 꼽히며 기대를 모았던 인공지능(AI) 기업 코어위브는 이날 뉴욕증시에 상장, 흥행몰이에 실패한 채 공모가인 40달러를 간신히 유지한 채 마감했습니다.


일명 '공포지수'로 불리는 미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의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2.96포인트 오른 21.65로 상승해 다시 20선 위로 올랐다.


인플레이션 우려에도 불구하고 경기침체 공포가 더욱 부각되면서 미 국채 수익률은 하락했다.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4.26%로 전날 같은 시간 대비 11bp(1b=0.01%포인트) 급락했다.



이지은 기자 jelee042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좎럥큔�얜��쇿뜝占�
HTML�좎럥梨룟퐲占�
亦껋꼶梨띰옙怨�돦占쎌슜��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