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손실, 미얀마 GDP 넘을 수도
인접국 태국도 강진 피해 이어져
미얀마 강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1만명을 넘을 것이라는 미국 연구기관의 추정치가 나왔다.
미얀마 정부가 집계한 144명을 훨씬 웃도는 수치다.
이번 강진은 113년 안에 발생한 지진 중 가장 강력한 규모로 파악됐다.
![]() |
28일(현지시간) 미얀마에서 발생한 강진으로 유명 불교 유적인 마하무니 사원이 붕괴한 모습. EPA·연합뉴스 |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미얀마 29일(현지시간) 오전 0시 50분께 최종 업데이트한 보고서에서 이번 미얀마 지진 사망자가 1만명 이상으로 불어날 가능성을 71%로 추산했다.
구체적으로는 10만명 이상일 확률이 36%, 1만명에서 10만명 사이일 확률이 35%였다.
1000∼1만명일 확률은 22%, 100∼1000명일 가능성은 6%라고 진단했다.
앞서 미얀마 군사정부는 예비 집계에서 세 도시에서 최소 144명이 사망하고 732명이 부상했다고 발표했다.
다만 이는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에서 발생한 사상자가 포함되지 않은 수치다.
향후 수색과 구조가 본격화하면 사상자 수는 빠르게 증가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앞서 미얀마 중부 내륙 만달레이 인근에서 28일 낮 12시50분쯤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다.
이번 지진은 최대 7.9로 추정된 1912년 메묘 지진(버마 지진) 이후 113년 만에 미얀마에서 발생한 가장 강력한 지진이다.
![]() |
28일(현지시간) 미얀마 강진 여파로 인접국인 태국 수도 방콕의 한 건물이 무너져 내린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
또 인구 150만명의 도시 만달레이 중심에서 불과 16km 떨어진 곳에서 발생한 이번 지진의 충격은 방글라데시, 베트남, 태국, 중국 남부까지 미쳤다.
특히 진앙에서 1000km 떨어진 태국 수도 방콕에서 건축 중인 33층 건물이 붕괴해 최소 10명이 숨지고 100명 이상이 실종됐다.
USGS 이번 지진으로 1000억달러(약 147조원) 이상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확률이 33%, 100억∼1000억 달러(14조∼147조원) 35%, 10억∼100억 달러(1조5000억∼14조원) 24%, 1억∼10억 달러(1500억∼1조5000억원) 7%인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경제적 손실 추산치의 경우 미얀마의 국내총생산(GDP)를 넘어설 수도 있다”고 밝혔다.
![]() |
28일(현지시간) 강진으로 무너진 미얀마 아웅반 호텔. 연합뉴스 |
내전으로 인해 미얀마 5400만 명 주민 가운데 약 2000만 명이 식량과 거주지를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미얀마 군사정부는 만달레이와 네피도를 포함한 6개 지역에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 사회에 지원을 요청했다.
이종민 기자 jngmn@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