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영남 산불에 누적 이산화탄소 배출량 13배 튀었다

‘아워 월드 인 데이터’ 통계 자료
기후변화-산불 대형화 악순환 우려


영남권 대형 산불이 남긴 건 막대한 인명·재산 피해뿐만이 아니다.
산불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는 기후변화를 가속해 기후 리스크를 키운다.
이는 곧장 고온·건조·강풍 등 기상현상으로 나타나 다시금 산불의 대형화라는 재난을 불러오는 악순환을 형성한다.

당장 산불이 계속된 이번 주 기준 산불 관련 누적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지난해 전체 배출량의 2배 가까이 치솟았다는 해외 통계가 나왔다.
육군 50보병사단이 경북 산불 피해지역인 의성군과 안동, 영덕, 영양, 청송군에 병력을 투입, 잔불진화작업을 하고 있다.
육군50사단제공
30일 국제 통계 사이트 ‘아워 월드 인 데이터’에 따르면 29일 기준 한국에서 산불로 배출된 이산화탄소는 234만5182t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4년 한해 동안 산불로 배출된 양(133만5848t)의 무려 1.76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전주만 해도 누적 배출량이 17만5449t이었는데 일주일 새 216만9733t이 새로 배출돼 무려 13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영남권 대형 산불이 주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이런 산불로 인한 막대한 이산화탄소 배출이 기후변화를 앞당기고 다시금 기후재난으로서의 대형 산불을 불러온단 것이다.

국제 통계 사이트 ‘아워 월드 인 데이터’가 집계한 한국에서 산불로 인한 누적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이 그래프다.
세로축 기준 200만t 이상 치솟은 빨간 선이 올해 누적 배출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영남권 산불로 다른 연도 2배 안팎을 벌써 찍은 모습이다.
아워 월드 인 데이터 제공
벌써 우리나라 대형 산불을 놓고 “기후변화로 인해 강화됐다”는 과학자그룹의 진단이 나오는 터다.
최근 기후과학자 네트워크 ‘클리마미터’는 ‘2025년 3월 일본·한국 산불은 인간이 주도한 기후변화로 강화된 기상 조건으로 인해 발생했다’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산불이 건조한 토양과 강풍, 비정상적으로 높은 기온이 지속돼 빠르게 확산했다”며 “한국은 기후변화로 인해 춥고 습한 겨울에서 따뜻하고 건조한 환경으로 변해 환재가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고 결과적으로 산불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승환 기자 hwan@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