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화재의 산불영향 구역은 1858㏊로 축구장 2602개에 달하는 면적이 피해를 봤다.
30일 산림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를 기점으로 열흘간 이어진 산청 산불의 주불 진화가 완료됐다.
![]() |
지난 25일 울산시 울주군 언양읍에서 난 산불을 헬기가 진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
최초 발화 이후 산림당국은 '산불 3단계'를 발령하고 진화에 나섰으나 강풍으로 화재 규모가 삽시간에 커지며 23일에는 인근인 하동 옥종면, 25일에는 진주 수곡면까지 화마에 휩싸였다.
진주지역 산불의 주불은 발화 2시간 만인 당일 오후 6시 15분쯤 꺼졌다.
그러나 산청·하동 산불은 계속 확산세를 보이며 26일에는 바람을 타고 산청 시천면 구곡산 능선을 넘어 지리산국립공원 일부까지 번졌다.
지리산 산불은 피해 면적이 123㏊로 전체 피해 면적과 비교해 규모는 작은 편이다.
그러나 험준한 지형과 식생, 강풍 등 요인이 진화대원들의 발목을 잡았다.
![]() |
경남 산청에서 시작돼 열흘동안 지리산국립공원과 하동군, 진주시로 번진 산불이 발화 213시간 만에 꺼졌다. 연합뉴스 |
낙엽층은 최대 깊이 100㎝에 무게만 ㏊ 당 300∼400t에 달했다.
산불은 낙엽층을 연료 삼아 확산하는 '지중화' 양상까지 보였다.
경사도가 40도에 달할 정도로 급하고 진입로가 없어 공중진화대, 특수진화대, 고성능 산불 진화차 등 인력과 장비 투입이 여의찮았다.
순간풍속이 최대 초당 10∼20m를 넘나드는 강풍이 불며 불티가 이리저리 흩날리는 비화 현상이 생겨 진화작업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한때 지리산 최고봉인 천왕봉에서 4.5㎞ 떨어진 관음사 인근까지 연기가 피어오르며 국립공원 피해가 커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왔다.
![]() |
HH-32 헬기가 경북 의성군 화재지역에 물을 뿌리는 모습. 뉴스1 |
그러나 특수·공중진화대 등 진화대원들이 밤샘 작업을 마다하지 않는 등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끝에 이날 주불을 잡을 수 있었다.
특히 주한미군이 보유한 치누크(CH-47) 기종을 포함한 수십 대의 헬기가 수시로 투입 되면서 진화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이번 산불이 장기화하며 인명·재산 피해도 잇따랐다.
진화작업 중 불길에 고립된 창녕군 소속 산불진화대원과 공무원 등 4명이 숨지고 10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이재민은 총 2158명 발생했으며 주택 28곳, 공장 2곳, 종교시설 2곳 등 시설 84곳이 피해를 봤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