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중앙합동피해조사단 꾸려 복구 대책 마련"
![]() |
의성 산불이 발생한지 4일째를 맞은 지난 25일 오후 경북 안동시 남후면 광음리 일대에 불이 확산되는 모습. /안동=박헌우 기자 |
[더팩트ㅣ최의종 기자] 영남권 11개 산불 주불 진화가 30일 모두 완료됐다. 산불영향구역은 4만8239ha이며, 사상자는 총 75명이다.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이날 오후 4시 경북 안동 경북도청에서 고기동 본부장 주재로 울산?경상북도?경상남도 산불 대응 중대본 9차 회의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회의는 잔불상황과 피해 수습·복구 관련 부처 진행 상황을 공유했다.
지난 21일에 시작된 경남 산청 산불 주불이 이날 오후 1시 진화되면서 정부가 관리해 온 11개 산불 진화가 모두 완료됐다. 산불영향구역은 총 4만8239ha이다. 이는 여의도 면적 166배에 달하는 규모다. 중대본은 인명과 재산 피해가 역대 최대 규모로 본다.
불에 탄 시설은 6192개소로 파악됐다. 주택은 3397곳이 전소되고 국가유산은 국가 지정 11건, 시도 지정 19건 등 30건이 피해를 입었다. 농업시설은 2114곳, 사찰은 13곳, 문화재는 18곳, 기타는 650곳 등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날 오후 12시 기준 인명피해는 총 75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는 30명, 중상자는 9명, 경상자는 36명이다. 지역별 인명 피해 규모를 살펴보면 경북 사망 26명·33명, 경남 사망 4명·부상 10명, 울산 부상 2명이다.
중대본은 건조한 대기 상황과 바람이 지속되는 만큼 잔불 처리와 뒷불 감시를 진화대원과 헬기를 동원해 이어갈 방침이다. 경북·경남 중앙합동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이재민 구호 활동을 진행한다는 입장이다.
중대본은 의료, 세금, 통신 등 기관별 지원사항이 포함된 '산불 종합안내서'를 마련하고, 7곳 현장지원반을 통해 주민 민원을 신속히 해결한다고 말했다. 주거 안정을 위해 임시조립주택 입주 희망 수요조사를 실시하고, 이주단지 조성 등 장기적인 해결책도 마련할 예정이다.
의료급여 지급, 건강보험 경감, 통신비 감면 등 민생 지원에 나서고, 농기계 및 종자·육묘 지원을 통해 피해 농업인의 영농 재개도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향후 재난 사태를 해제하며 '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와 '중앙합동피해조사단'을 구성해 산불 피해 복구대책을 마련한다.
고기동 중대본부장은 "산불로 삶의 터전을 상실한 이재민 조속한 일상 회복과 피해 복구를 위해 최고 수준 지원을 추진하겠다"라며 "관련 부처와 지방자치단체는 추가 산불 방지를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산불 발생 시 국민 안전을 지키기 위한 선제 조치를 하겠다"라고 말했다.
bell@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