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폐의류 연간 10만여t 달해
상당수가 해외 수출되거나 소각
정부, 2026년 목표 예산 확보 나서
“방음재·시트 등 재사용 최종 목표”
25일 경기 광주의 한 폐의류 수출업체 창고에는 천장까지 약 7m 높이로 쌓인 옷더미가 언덕을 이뤘다.
포클레인 작업자는 옷을 대량으로 집어 컨베이어벨트 위에 내려놨다.
벨트를 따라 옷더미가 움직이자 직원 80여명이 손수 분류해 내기 시작했다.
계절, 색깔, 스타일에 따라 나뉘는 종류만 200여종이다.
이 업체가 처리하는 폐의류는 전국 각지에서 모여 매주 200t(톤)에 달한다.
업체 관계자는 “폐의류 중 다시 입을 수 있는 75%는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에 수출한다”며 “1∼2%가 국내에서 다시 유통되고, 나머지는 전부 소각하고 있다”고 했다.
![]() |
지난 25일 경기 광주의 한 폐의류 수출업체 창고에 헌옷 300여t이 산처럼 쌓여 있다. |
동남아와 아프리카 등에서도 폐의류 재고가 쌓여 상당수는 재활용되지 못한 채 소각되거나 매립돼 환경오염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버려진 옷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 세계 배출량의 10%인 연간 120억t에 달한다.
정부는 폐의류 수출이나 폐기가 아닌 재활용이라는 본래 목적에 맞게 자원이 순환될 수 있도록 물질 재활용 기술개발사업에 나선다.
헌옷의 발생부터 처리까지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계관리시스템도 구축할 계획이다.
30일 세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환경부는 2026년을 목표로 폐의류 분리·선별 및 재생원료화 및 재생섬유 제품화 기술개발에 착수한다.
2022년 기준 국내 의류수거함에 분리배출된 폐의류는 연간 10만6536t에 달하는데, 이를 수출 및 소각에 그치지 않고 국내에서 재활용 및 재사용할 수 있게 만들겠다는 것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궁극적으로는 재가공되는 플라스틱처럼 폐의류가 차량용 시트, 방음재, 부직포 등으로 다시 쓰이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전했다.
기술개발 예산 확보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기획재정부 심의단계를 준비 중이다.
글·사진=장한서 기자 jhs@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