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북선과 측우기 등 옛 발명품의 ‘명예 특허등록’ 심사가 진행된다.
특허청은 올해 발명의 날 60주년을 맞이해 거북선과 측우기 등 선조들의 우수 발명 15점을 선정, 명예 특허등록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심사에 착수했다고 31일 밝혔다.

앞서 특허청은 심사관·선행기술조사기관 및 국립중앙과학관 등과의 협업으로 선조들의 65개 발명을 추천받았다.
또 발명이 가진 역사적 의미와 기술적 특징 등을 검토해 거북선·측우기·양부일구·자격루·거중기·아자방 온돌·신기전기 화차·혼천시계·풍기대·대동여지도·비격진천뢰·관상감 관천대·연은분리법·석빙고·금속활자를 활용한 인쇄방법 등 15종의 선조 우수 발명을 선정했다.
이어 최종 선정한 우수 발명의 주요 기술에 관한 설명 침 주요 특징은 특허심사를 위해 명세서 형태로 작성돼 특허출원과 전문가 자문을 마쳤다.
특허청은 선정된 선조 우수발명의 ▲이전에 없던 새로운 발명인지 여부(신규성) ▲기존 기술보다 개선·발전된 발명인지 여부(진보성) ▲실생활이나 산업현장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산업상 이용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내달 말 ‘명예 특허등록’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명예 특허로 등록 결정된 선조 발명에는 명예 특허증도 발급된다.
또 일부 발명품은 5월 19일 열릴 예정인 발명의 날 기념식 특별전시관에서 독립유공 발명가의 발명품, 한국 산업발전의 주역 발명품 등과 함께 전시할 예정이다.
올해 발명의 날 기념행사에서는 선조들의 발명 전시관 뿐 아니라, 현재 발명유공자를 포상하는 기념식 및 혁신기술·미래세대 컨퍼런스 등 국내 발명의 과거·현재·미래를 동시에 만나 볼 수 있는 행사도 진행된다.
발명의 날은 세계 최초로 측우기를 발명한 날(1441년 5월 19일)을 기념하기 위해 지정된 국가기념일이다.
김정균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국장은 “발명은 옛 선조들 때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우리 삶과 밀접하게 이어져 왔다”며 “선조 발명의 ‘명예 특허등록’이 역사 속 발명 업적을 재조명하고, 발명의 중요성을 다시 되새기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