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발화 현장 주변이 모두 불에 타 원인 규명에는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경북경찰청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경북소방본부 등은 31일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산불 발화지점에서 합동 감식을 한다.
![]() |
29일 경북 의성군 괴산리 야산의 최초 발화지점에 산림 당국의 출입 통제 라인이 설치돼 있다. 경북경찰청은 의성 산불 최초 발화 지점에서 증거 물품인 라이터를 확보했다. 뉴스1 |
경북경찰청 형사기동대는 전날 경북 산불로 26명의 사망자를 낸 혐의로 A(56)씨를 불구속 입건했다.
A씨가 받는 혐의는 산림보호법 위반이다.
A씨는 지난 22일 오전 11시 24분께 경북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한 야산에 있는 조부모 묘소를 정리하던 중 일대에 불이 나게 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 과학수사계는 지난 29일 현장 보존 조치를 했다.
최초 발화 당시 A씨 딸은 119상황실에 “불이 나서 (증조부의) 산소가 다 타고 있다”라며 “저희 아빠랑 왔다”라고 신고를 했다.
현장에는 A씨 아내도 함께였던 것으로 경찰은 파악했다.
딸은 출동한 경찰에게 기초 사실 조사를 받으며 “(봉분에 있는) 나무를 꺾다가 안 되어서 라이터로 태우려다가 바람에 불씨가 나서 산불이 났다”고 진술했다.
여기에 산불이 발화한 날(22일) 의성에는 안평면 괴산리 외에도 안계면 용기리와 금성면 청로리에서도 산불이 발화했다는 각각 다른 신고가 119에 접수됐다.
당시 산림 당국은 두 산불이 안평명 괴산리 산불과는 별개 산불이라고 언론에 알려 수사기관의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안계면 용기리 산불 신고 시각은 22일 오후 2시46분이며, 금성면 청로리 산불은 22일 오후 1시57분에 접수됐다.
경찰 관계자는 "기초 사실 조사를 모두 마친 뒤에 피의자를 부를 것"이라고 말했다.
역대급 피해를 남긴 산불은 의성에서 강풍을 타고 경북 북동권역인 안동, 청송, 영양, 영덕에까지 번졌다.
산불 진화를 위해 투입됐던 헬기 조종사와 산불감시원, 주민 등 26명이 숨졌다.
국가 보물 고운사 등 유형문화유산과 주택·공장 등 4000여채를 태운 것으로 추산된다.
산불영향구역은 4만5157㏊로 여의도 면적 156배로 조사됐다.
의성=배소영 기자 soso@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