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다음 달 1일부터 일반병동 입원환자의 심폐정지, 다발성 장기부전 등 예기치 못한 상태 악화를 사전에 방지하는 '신속대응시스템 3단계 시범사업'을 시행한다고 31일 밝혔다.

지난 2019년부터 1·2단계 시범사업을 거친 신속대응시스템은 일반병동 입원환자 중 위험 징후를 보이는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대응팀이 즉각 개입해 환자의 상태 악화를 예방하는 환자안전 관리체계다.
신속대응시스템에 참여하는 기관은 환자의 위험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의사, 간호사 등 인력을 배치하고 장비를 갖춰야 한다.
정부는 지난 2019년부터 1·2단계 시범사업을 진행해 왔다.
이번 시범사업에서는 의료 현장의 실제 운영 여건을 고려해 의료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도 환자 안전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인력 운영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의료장비 구성을 현실화하는 등 제도를 개선했다.
이같은 의료자원 운영 효율화에 따라 시범사업 참여기관은 기존 45개소(상급종합병원 32개소, 종합병원 13개소)에서 55개소(상급종합병원 38개소, 종합병원 17개소)로 확대됐다.
현재 일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2개 기관은 향후 6개월 내 모든 요건을 충족해야 최종 승인이 확정된다.
시범사업 참여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은 본인이 희망하는 경우 고위험 상태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받을 수 있으며, 위험 징후 발견 시 신속대응팀 또는 병동 의료진에 의해 즉시 초기 조치를 받게 된다.
복지부는 이번 시범사업 확대를 통해 더 많은 환자들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조기 개입 혜택을 받아 중환자실 입실률 감소, 병원 내 심정지 발생률 감소, 재원일수 단축 등 의료 질 향상과 함께 의료비 절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오는 2027년 말까지 3단계 시범사업이 완료되면 그간의 성과평가를 바탕으로 본사업으로 전환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본사업 추진 시에는 환자의 안전을 지키고 위험 상황에 신속히 대응하면서도 의사·간호사 팀 진료 등 의료기관 여건에 맞춰 인력 운영을 보다 탄력적으로 할 수 있도록 성과 지원을 강화하는 방식을 검토할 예정이다.
이중규 복지부 건강보험정책국장은 "시범사업 확대를 통해 더 많은 환자에게 더 안전하고 질 높은 입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환자의 안전을 강화하고, 이에 대한 의료진의 노력에 대해서는 합당한 보상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