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은 울산과 경남·북 등 대형 산불 피해지역에 ‘산불 피해지 긴급 진단팀’을 파견한다고 31일 밝혔다.

긴급 진단팀은 산사태 분야 전문기관인 한국치산기술협회와 민간전문가 등으로 구성돼 산사태 등 2차 피해가 우려되는 산불 피해지역을 중심으로 긴급 진단을 실시, 산불 피해지 복구계획 수립으로 조속한 복구를 추진하기 위해 파견된다.
대상지는 울산시 울주군, 경북 의성·안동·영양·청송·영덕, 경남 산청·하동 등 8개 지역이다.
긴급 진단팀은 위성영상 및 드론 등을 활용한 영상자료를 분석해 산불피해 강도를 광역적으로 파악한다.
특히 가옥 및 공공시설이 위치한 생활권을 중심으로 현장 조사를 실시하고, 현장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응급복구 및 항구복구 대상지를 선정해 2차 피해를 사전에 차단할 방침이다.
산림청은 피해지역의 위험도에 따라 응급복구, 연내 복구, 항구복구로 구분한 복구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긴급 진단 결과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공유해 지역별 세부 피해조사 및 복구계획 수립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산불피해지는 집중호우 시 산사태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위성영상과 드론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한 과학적 진단으로 산불 피해지의 2차 피해를 방지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