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이라고 예고한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관련 정책 지지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AP통신과 시카고대 여론 연구센터(NORC)가 지난 20~24일 성인 남녀 1229명을 상대로 실시해 31일 공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전반적인 대통령직 수행에 대해 42%가 '지지한다'고 밝혔고, 56%가 '지지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경제에 대해서는 '지지한다'가 40%, '지지하지 않는다'가 58%로 나타났고, '다른 나라들과의 무역 협상'에서는 '지지한다'가 38%, '지지하지 않는다'가 60%로 조사됐다.
특히 무당파 응답자 중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운영 전반과 타국과의 무역 협상에 대해 '지지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사람 비율이 각각 64%와 68%에 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3월 12일 시행), 자동차 및 관련 부품(4월 3일 시행 예정) 등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발표한 데 이어 4월2일 무역 상대국의 대미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 등을 고려해 책정하는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부과가 물가 등 경제에 미칠 영향을 낙관하고 있지만, 여론 조사에서는 이에 대한 우려가 나타나고 있다.
AP는 관세와 경제 평가를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경고 신호로 해석하며 "관세 부과 위협이 2024년 선거에서 승리하는 데 핵심으로 삼은 또 다른 이슈에 대한 우위를 없앨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또 "경제 문제는 무역 협상만큼 극명하게 드러나지 않더라도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는 앞으로 트럼프 대통령에게 문제가 될 수 있다"며 "경제는 첫 임기 동안 미국인들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자주 좋은 평가를 내린 사안이다.
물가와 경제 성장은 트럼프 대통령 당선의 주요 동기 부여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이 외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보장 영역(지지 41%-비지지 56%),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영역(지지 41%-비지지 56%)에서 전체 국정 수행 지지도보다 약간 낮은 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민 정책에 대해선 '지지한다'는 응답자 비율이 49%로 '지지하지 않는다'(50%)와 거의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정부 지출(지지 46%-비지지 51%), 가자 전쟁(지지 44%-비지지 54%), 연방정부 경영(지지 43%-비지지 55%) 등에서 긍정 응답이 부정 응답보다 적긴 했지만, 국정 전반에 대한 평가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