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경남·울산 산불대응 중대본 11차 회의 개최
![]() |
의성 산불이 발생한지 5일째를 맞은 지난달 26일 오후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에 번진 산불로 가운루와 종각 등 건물들이 불에 타 흔적만 남은 가운데 고운사 스님이 화재 현장을 바라본 뒤 등을 돌리고 있다. /의성=박헌우 |
[더팩트ㅣ설상미 기자] 행정안전부는 경상북도와 경상남도에 조속한 피해 수습 및 지역 안정화를 위한 재난특교세 226억 원을 추가로 지원한다고 1일 밝혔다.
정부는 이날 경북도청에서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 주재로 경북·경남·울산 산불대응 중대본 11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산불 피해 현황, 추가 산불 예방을 위한 조치, 이재민 일상 회복을 위한 기관별 지원 대책을 논의했다.
정부의 재난특교세는 지난 3월 지원한 81억원을 포함하면 총 307억원 규모다. 산불피해 잔해물 철거·처리, 이재민 임시주거 지원, 2차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한 긴급 안전조치 등에 사용된다.
행안부는 지차제의 산불피해조사, 중앙피해합동조사를 거쳐 복구계획이 수립·확정되면 공공시설 복구비의 지방비 부담분 일부에 대해 재난특교세를 추가로 지원할 방침이다.
행안부는 조속한 피해복구와 지역공동체 회복을 위해 '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를 구성해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신속한 산불 피해 조사를 위해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 운영에 앞서 사전 조사반을 현장에 파견해 지자체의 피해조사를 지원한다. 경상북도에서는 도내 16개 시·군에서 피해조사 인력을 지원해 조사에 속도를 높인다.
경북·경남의 중앙합동지원센터에서는 총 72개 기관 102명이 참여해 이재민 구호와 시설·주거복구, 영농, 융자·보험·법률 상담 등 다양한 분야의 민원을 한곳에서 종합적으로 안내하고 있다. 체육관·학교 등 임시대피시설에 머무는 이재민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재민 의사에 따라 연수·숙박시설로 이동시키고 있다.
임시조립주택 공급과 장기적 주택 지원방안도 마련하고 민간전문가와 함께 설치자문단을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자택으로 복귀하는 이재민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한국전력공사는 고립지역 3개소에 대해 비상발전기를 활용해 전력을 공급하고 정전 세대의 신속한 복구를 위해 피해지역에 인력을 집중하고 있다.
고 직무대행은 "광범위한 지역에 발생한 산림소실, 인명·재산 피해의 신속한 복구에 관계기관의 역량을 결집해달라"며 "현장에서 피해 지역을 돕기 위해 이재민 생활지원과 의료지원, 시설 복구, 농기계 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봉사해 주시는 분들께 감사의 말씀 드린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