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당국은 이미 헌법재판소 주변을 통제하기 시작했다.
선고 당일엔 ‘진공 상태’로 만들 계획이다.
![]() |
경찰버스가 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주변 도로를 통제하고 있다. 헌재가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한다고 밝히면서 경찰은 경비를 강화하고 있다. 뉴스1 |
경찰은 시위대에는 헌재 인근 100m 밖으로 물러나라고 통보했다.
선고 당일에는 헌재 주변에서 벌어질 소요 사태에 대비해 경계수위를 최고조로 높인다는 계획이다.
경찰은 가용인력을 100% 동원하는 갑호비상을 전 시도경찰청에 발령하고, 서울에 기동대 210개 부대 약 1만4000명을 배치하기로 했다.
이는 전국 가용 기동대의 60%에 달한다.
경찰 차벽과 바리케이드 등도 설치해 시위대의 접근을 차단한다.
경찰특공대는 헌재 주변에 대기하고, ‘안티드론’ 장비를 배치해 무인기를 이용한 공격 등에도 대비한다.
헌재 경내에도 형사를 배치하고, 청사에 난입하려는 이는 현행범으로 체포할 방침이다.
4일 안국역은 종일 폐쇄된다.
시위대가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인근 시청역·경복궁역·광화문역과 여의도역 등은 무정차 통과 등 탄력적으로 운영된다.
시내버스는 광화문 교차로, 세종대로 사거리, 안국역, 여의대로, 한남동 등 구간 내 경유 노선에서 무정차 또는 임시 우회를 할 계획이다.
서울시와 종로구는 헌재 반경 1㎞에 있는 노점상에 선고 당일 휴무 협조를 요청했다.
또 인근 상가에는 입간판이나 화분, 유리병 등을 모두 치워 달라고 부탁했다.
인근 주유소는 운영하지 않고, 공사장도 작업을 멈춘다.
헌재 인근 고층 건물 옥상 출입도 통제된다.
선고 당일 헌재 인근 교동초등학교 등 학교 11곳은 임시 휴업한다.
서울시는 인파 안전 대책, 응급의료 대책을 실행한다.
상황실과 연결된 교통·방범용 폐쇄회로(CC)TV를 활용해 주요 집회 장소에 대한 인파 밀집도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돌발상황으로 인한 다수의 환자 발생에 대비해 국역·청계광장·한남동·여의대로에 각 1개소씩 총 4개의 현장진료소를 설치하기로 했다.
진료소에는 의사와 간호사가 상주하고, 구급차도 배치된다.
앞서 2017년 3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당시 경찰 버스 탈취와 폭력 집회 등이 벌어지며 집회 참석자 4명이 사망한 바 있다.
이진경 기자 ljin@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