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월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효를 하루 앞둔 1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계속해서 일본을 제외해 달라고 강하게 요구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교도통신과 니혼게이자이신문 등에 따르면 이시바 총리는 2025회계연도(2025년 4월∼2026년 3월) 예산안 통과를 맞아 이날 총리 관저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언급하고 "국내 산업·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철저하게 조사해 필요한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세 대응 조치의 구체적인 내용은 여당과 시급히 조율해 나가겠다는 의사도 나타냈다.
앞서 일본은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 상호 관세 등을 예고한 이후 미국 측과 협의를 지속해 왔으나, 아직 관세 부과 대상 제외 등의 성과를 올리지 못했다.
이시바 총리는 미국 관세 방침에 대응해 전국 1000곳에 특별 상담창구를 설치해 중소기업 의견을 듣고 우려를 불식시키겠다고 말했다.
그는 "사업 활동에 영향이 발생하는 경우 자금 조달 등에 만전을 기하도록 할 것"이라며 경영 관련 조언과 지원책을 소개하는 프로젝트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시바 총리는 관세 협의에 직접 나설 가능성에 관한 질문에 "경제산업성, 외무성, 농림수산성이 미국 담당자와 협의 중"이라며 일단은 각료 간 논의가 중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담당 각료 간 논의로 (관세 협의의) 전체상이 보이는 시점에서 미국에 가는 것이 적당하다고 판단되면 그것은 주저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31일 향후 미국 상호관세의 '기준'이 될 것으로 여겨지는 '2025년 나라별 무역 장벽 보고서(National Trade Estimate Report on Foreign Trade Barriers·NTE)'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중국 등에 비해 일본에 대해선 비교적 완만한 톤을 유지했다.
보고서는 "미국과 일본이 미·일 무역협정(USJTA)과 미·일 디지털 무역협정(USJDTA)을 계속 이행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농업, 디지털 무역, 규제 투명성 등에서 진전이 부족하다"고 단서를 달았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