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영남 산불, 숲회복성 높이는 자연복원 방점”

산림 복구 어떻게
피해 복구에 50∼100년 걸려
지역특성 반영 맞춤복원 해야
민가·국가시설·문화재 보호 위해
산 인근 나무 안심는 이격공간 필요


역대 최악의 산불이 된 영남권 산불로 훼손된 산림 복원작업은 숲의 회복성과 건강성을 높이기 위해 자연복원에 방점을 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다만 산 인근의 민가와 국가기반시설, 문화재 등을 보호하기 위해선 나무를 심지 않는 이격공간을 두거나 내화수림대(불막이 숲)로 조성하는 인공조림을 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1일 산림당국에 따르면 영남권 산불 피해면적은 4만8000여㏊이다.
서울 면적의 80% 정도로 역대 최대 규모이다.
경북도와 산림당국 등은 이날 경북 안동·의성·청송·영양·영덕 등 5개 시·군을 대상으로 9일까지 산림분야 피해 조사에 돌입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불피해지 복구매뉴얼’에 따르면 산림 복구는 해당 지역 식생 조건에 따라 자연복원과 인공조림을 병행하도록 돼 있다.
그러나 산사태 등 2차 피해 방지와 사유림의 산주 등의 요구로 빠른 산림복구를 위해 사실상 목재수림과 사방복구 등 인공조림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자연복원을 중심으로 하되, 피해 규모가 방대한 만큼 지역 특성과 여건에 따라 ‘맞춤형 복원’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강원석 국립목포대 교수는 “피해 지역에 대한 특성과 여건 조사와 함께 지역주민, 지자체, 산림당국의 의견을 들어 복원작업 방향을 정하는 게 중요하다”며 “영남권 산불은 피해 규모가 방대하기 때문에 서두르기보다는 계획 단위를 작게 해서 맞춤형 복원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산주가 있는 사유림은 목재경제성, 민가 주변 등은 산불 예방을 위해 내화수림 조성 등 인공조림 경향이 있다”며 “반면 국립공원 등 보호구역 등이 있는 곳은 자연복원을 해야 한다”고 했다.
2023년 3월 발생한 산불의 경우 국립공원 인근지역인 하동 피해지는 인공조림을, 울진 피해지는 자연복원이 압도적으로 높다.

이시영 강원대 명예교수도 “복구는 50∼100년이 걸리는 만큼 장기적 복원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목재생산, 수원(水源), 산지재해 방지, 휴양림, 생활환경보전 등 산림의 6대 기능에 따라 복원할 지역특성을 분석하고 복구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소나무보다는 굴참나무 등 화기에 강한 참나무 종류를 심어 내화수림대를 많이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민가나 문화재 인근엔 아예 나무를 식재하지 않는 ‘이격공간’을 둬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고기연 한국산불학회장은 “산불 예방 중 하나는 벌채”라며 “민가나 문화재, 원자력발전소 등 주변은 식생조림을 하지 않는 이격공간으로 둬 화마를 피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침엽수 특성인 수관화(樹冠火) 현상이 산불 피해 규모를 확산시킨 만큼 활엽수 등 대체 수종에 대한 연구를 본격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성용 안동대 교수는 “활엽수를 늘려야 한다고 하지만 어떤 수종을 심어야 할지에 대한 연구들이 부족하다”며 “인공조림을 하려면 2년 정도 양묘를 해야 하는데 활엽수종은 공급량이 많지 않다.
산림의 유전·생태·조림 전분야에 걸쳐 연구와 고민을 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과거 사방수종으로 많이 심었던 아카시나무가 최근 목재로서 가치가 높아지고 있고 질소를 저장하는 습성이 있어 토양을 비옥하게 한다”며 “자연복원을 하면서 나무와 나무 사이에 아카시나무를 조림하면 산불 위험성도 낮추고 부가가치도 높일 수 있다”고 제언했다.
또 전문가들은 산사태 등 2차 피해를 대비해 사방작업 등을 서둘러야 한다고 했다.
대전=강은선 기자 groove@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