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부터 자동차 25% 관세 징수
반도체법 재협상 가능성도 시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각국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고려한 상호관세를 공식 발표한다.
이미 발표된 25% 자동차 관세 부과 조치도 이날부터 발효돼 3일부터 공식 징수에 들어간다.
트럼프 대통령은 ‘T데이’를 앞두고 많은 국가가 관세를 피해가기 힘들 것이라고 공언했다.
T데이는 ‘운명의 날’을 뜻하는 D데이의 D를 트럼프(Trump)와 관세(tariff)의 앞글자 T로 바꾼 신조어다.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
이에 대해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와 관련, 미 동부시간으로 2일 오후 3시(한국시간 3일 오전 4시)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의 세율과 관련해선 “그들(다른 나라)이 우리에게 무엇을 부과하든 우리도 부과하겠지만 우리는 그들보다 친철하다”며 “그들이 우리한테 부과한 관세보다는 숫자(관세율)가 낮을 것이고 어떤 경우에는 훨씬 낮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그동안 다른 국가들이 미국산 제품에 수백%의 관세를 부과했다고 주장해왔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불공정 무역 관련 보고서와 1일 상무부·재무부가 제출할 보고서 등이 상호관세 책정에 반영될 것으로 전망된다.
캐럴라인 레빗 대변인은 이날 “수요일의 목적은 국가별 관세이지만 대통령은 분명히 부문별 관세 부과에도 전념하고 있다고 말해왔다”며 “대통령이 그 결정을 언제 하고 언제 발표할지는 그에게 맡기겠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2일 상호관세를 발표하지만 여전히 부문별 보편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에도 관심을 갖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워싱턴포스트(WP)는 백악관 보좌관들이 3조 달러 규모의 수입품 대부분에 대해 20% 보편관세를 부과하는 제안의 초안을 작성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대미 투자 반도체 기업에 지급하겠다고 약속한 반도체과학법(반도체법) 보조금을 재협상할 가능성도 시사했다.
그는 이날 미국에 투자하는 기업을 지원하는 ‘미국 투자 액셀러레이터’ 사무소를 상무부 내에 만들도록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는데 이 사무소에 상무부의 반도체법 프로그램 사무소(CPO)도 책임지라고 지시한 것이다.
그는 CPO에 대해 “전임 행정부보다 훨씬 나은 합의를 협상해 흥정(bargain)에 따른 이득을 납세자에 가져다주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워싱턴=홍주형 특파원 jhh@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