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존경보제 단일권역 발령 조정
5~8월 계절관리제로 고농도오존 대응
![]() |
서울 지역에 오존주의보가 내려진 날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서울 시내가 붉게 보이고 있다.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은 온도가 높을수록 붉은색, 낮을수록 푸른색을 나타낸다. 2024.06.06. /뉴시스 |
[더팩트ㅣ설상미 기자] 서울시는 기존 5개 권역으로 발령되던 오존경보를 '단일 권역'으로 조정하고, 5~8월에는 '고농도 오존 대응 계절관리제'를 시행한다. 생활권 비규제 배출원 관리를 강화하는 등 그간 미세먼지 저감에 집중됐던 대기질 개선 정책을 오존까지 확대 및 손질한다.
시는 2일 이같은 방안이 담긴 고농도 오존 관리 특별대책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 마련을 위해 건강 위해성·모델링 등 분야별 오존 전문가, 관계 부서 회의 등을 거쳐 3대 추진 방향, 4대 중점과제를 도출해 냈다.
서울에서 발생하는 고농도 오존은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주요 원인물질로 작용하는데 휘발성유기화합물 전체 배출량의 85%는 유기용제 사용과정에서 발생, 자동차(8%), 건설기계(3%) 등에서 배출된다.
이에 시는 △오존 위해성 및 대응 방안 등 대시민 홍보 강화 △고농도 시기(5~8월) 계절관리 기간 운영 △상시 생활권 배출원 집중 관리 △과학적 해결 방안 마련 및 국내외 협업 강화 등에 들어간다.
시는 전날부터 기존에 5개 권역별 발령하던 오존 경보제를 단일 권역 발령으로 조정했다. 오존 확산은 넓은 지역에 걸쳐 영향을 미치므로 권역별 발령 체계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라 시행됐다. 이번 권역 조정으로 비효율과 혼선을 줄여 시민 이해를 높일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보다 신속한 경보 발령이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미세먼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식이 부족한 고농도 오존의 위해성을 알리고 어린이·어르신 등 오존 민감군과 야외노동자 등 취약군을 대상으로 하는 행동 수칙을 마련, 적극 전파에 나선다. 오존은 자극성이 강한 기체로 눈·코 등의 감각기관을 자극하고 고농도 오존에 노출될 경우 기침·호흡곤란 등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호흡기 질환자·어린이·노약자 등은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아울러 시는 매년 여름철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고농도 오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오존 계절관리 대책'도 시행한다. 이번 대책은 고농도 오존 발생 시 사후에 이뤄지는 대응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고농도 기간동안 사전에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 업장 등을 집중 관리하는 것이 핵심이다.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서울 시내 오존 발생의 주요 인자로 작용함에 따라 생활권 비규제 대상 배출원을 집중 관리,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원에 대한 저감 기반도 강화한다. 내연기관차 운행 제한 단계적 확대와 전기차·수소차 보급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간다.
시는 오존 농도 상승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과학적 분석을 통한 체계적인 정책 기반을 마련하고, 국내외 도시 간 정책·기술·정보 교류를 통해 유기적인 협력을 강화한다.
권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오존은 미세먼지와는 다른 가스상 오염물질로, 마스크 착용으로 차단이 쉽지 않은 만큼 농도가 높을 때 야외 활동을 자제하는 등 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관심과 대응이 필요하다"며 "오존 발생 저감 등 시민 건강을 보호하고 앞으로도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