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트럼프 상호관세’가 2일 오후(현지시간) 발표 즉시 발효된다.
줄곧 언급된 국가별 차등 세율 방식과 무차별 20% 보편관세 방안, 이 둘을 절충하는 새로운 관세 방안 등 세 가지 시나리오가 거론된다.
상호관세가 본격 시행되면 그간 중국·캐나다·멕시코 등 일부 국가, 철강·알루미늄·자동차 등 일부 품목을 대상으로 했던 관세 전선이 확대될 전망이다.
1일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상호관세를 발표하는 즉시 발효된다고 재확인하며 "내일 진행되는 트럼프 대통령의 역사적인 조치는 모든 산업 분야에서 미국의 경쟁력을 개선하고 대규모 무역 적자를 줄이면서 궁극적으로 미국의 경제 및 국가 안보를 보호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2일 오후 4시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리는 ‘미국을 더 부유하게’라는 주제의 행사에서 연설할 계획이라고 알렸다.
이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발표할 것임을 시사한 것이다.
백악관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범위와 세율 관련 질문에 명확하게 답변하지 않았다.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어제 결정을 했다고 말했으나 나는 그에 앞서서 말하고 싶지 않다"며 "여러분은 약 24시간 이내에 알게 될 것"이라고만 답했다.
관세 부과를 하루 앞둔 가운데 채택이 유력시되는 세 가지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외신들은 현재 트럼프 행정부가 20% 보편관세, 상호관세, 절충안 세 가지 방안을 놓고 막판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날 뉴욕타임스(NYT), 워싱턴포스트(WP) 등은 백악관이 미국의 거의 모든 수입품에 20%의 단일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한 가지 옵션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20% 보편관세 초안도 작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 같은 방안을 도입하면 미국 정부의 세수는 6조달러 이상 늘어날 수 있다고 기대했다.
다만 이들 매체는 트럼프 행정부가 무역 상대국의 대미 관세율을 고려해 국가별로 다른 관세, 일명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방안도 함께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이렇게 되면 무역협정을 통해 관세 칼날을 피할 수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무역대표부(USTR)가 세 번째 옵션으로 일부 국가에 대미 수출품 전반에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그간 상호관세와 20% 보편관세만 거론됐는데, 관세 부과 직전 새로운 방안이 등장한 것이다.
소식통들은 이 국가들에 부여하는 관세율은 20% 보편관세보다는 낮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이는 일종의 절충안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20% 보편관세를 고려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온 뒤 업계와 노동자 단체들이 반발하고, 상원에서 민주당이 추진하는 관세 비판 결의안에 일부 공화당 의원들이 찬성표를 던지려 하자 절충안을 마련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수의 외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아직 트럼프 대통령이 어떤 방안을 택할지 불분명하며, 전날 관세 부과 방침을 결정했다고 말했지만 정책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는 상대국의 관세에 대한 상호적 조치라며 관세율은 상대국이 미국에 부과한 것보다는 낮을 것이라는 점을 여러 번 강조한 바 있다.
그는 전날 "그들(다른 나라)이 우리한테 무엇을 부과하든 우리도 부과하겠지만 우리는 그들보다 친절하다"며 "그들이 우리한테 부과한 관세보다는 숫자(관세율)가 낮을 것이고 어떤 경우에는 훨씬 낮을 것"이라고 말했다.
각국은 발표 전날까지도 관세를 피하기 위해 치열하게 협상 중이다.
이날 레빗 대변인은 "구체적인 숫자는 모르겠지만,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팀에 전화해서 관세에 대해 논의한 국가가 꽤 많다"며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가장 신경 쓰는 국가는 미국"이라고 말했다.
다른 나라가 자국의 대미 관세에 변화 가능성을 시사할 경우에 협상에 열려 있느냐는 질문에는 "대통령은 항상 전화를 받는 것에 열려 있다"고 답했다.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에 대해서 레빗 대변인은 3일부터 시행된다고 재확인했다.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의 적용을 받는 캐나다 및 멕시코 물품에 대한 관세 유예 조치(2일 만료)를 재연장하는 것을 고려하느냐는 질문에는 "대통령이 그에 대해서 말하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