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개 의대에서 미등록 휴학생 중 전원에 가까운 학생들이 등록은 했지만, 복귀생 상당수가 수업에는 참여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년 만에 '학사 정상화'가 이뤄지는 듯했지만, 이번에는 '대규모 유급' 가능성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2일 교육계 등에 따르면 40개 대학 중 유일하게 등록하지 않았던 인제대 의대생들도 복귀하기로 결정했다.
인제대의 복귀 시한은 이달 4일까지인데 의대생 370명이 등록금 납부를 거부해 '제적 예정자' 명단에 올랐다.
이 때문에 인제대 의대생은 복귀율이 24%로 가장 낮았지만, 이날 등록하기로 결정하면서 전국의 모든 의대에서 학생 전원이 복귀하게 됐다.
그러나 등록 후 수업 거부, 휴학계 제출 등의 방식으로 투쟁을 이어갈 수 있어서 수업 정상화까지는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의대생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실제 수업에 참여하거나 참여 예정인 학생이 3.87%에 그친다고 밝혔다.
의대협은 전국 40개 의대 중 15곳의 수업 참여율을 조사한 결과, 수업 참여율은 응답자 6571명 중 254명에 불과했다고 했다.
가천대에서는 245명 중 1명(0.41%)이 수업에 복귀했고, 한림대에서는 466명 중 3명(0.64%)만이 수업에 참여하거나 참여할 예정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외 고려대(1.57%), 순천향대(2.01%), 아주대(2.12%), 동아대(3.49%), 충남대(3.65%), 연세대 미래캠퍼스(3.79%), 가톨릭대(3.93%), 이화여대(4.89%), 조선대(5.35%), 연세대(5.65%), 한양대(5.89%), 성균관대(5.99%), 울산대(9.49%) 등에서도 수강률은 한 자릿수에 그쳤다고 했다.
이선우 의대협 비대위원장은 이 같은 결과를 공개하며 "협회의 방향성이 '투쟁'으로 수렴됐다"고 말했다.
미등록 제적 상황은 피하기 위해 복귀를 결정하긴 했지만, 향후 수업 거부를 통해 대정부 투쟁은 이어가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 비대위원장은 "협회는 각 학교의 대의원들과 긴밀히 논의하고 있으며 법적 자문을 비롯한 여러 방법을 지원하고 있다"면서 "각 학교에서는 대의원의 안내를 잘 따라주기를 바란다"고 했다.
정부가 1일 40개 의대생의 복귀 상황을 알리며 "의대 교육 정상화가 시작됐다"고 발표한 지 하루 만에 의대협이 '수강률 3%'라고 맞서면서, 학사 정상화까지는 또다시 요원해졌다.
대부분 대학에선 수업일의 4분의 1 이상 결석하면 F 학점 처리하고, 유급하도록 학칙을 두고 있다.
등록금은 냈지만 이달 말까지 수업에 참여하지 않으면 대규모 유급이 불가피하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