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와 농림축산식품부는 경북 산불 피해지역 일대의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관리를 위해 ‘봄철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저지 긴급 대책’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정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저지선에 위치한 경북 구미·김천시, 칠곡·청도군, 충북 옥천·영동지역을 중심으로 열화상무인기 10대, 위치정보시스템 포획 트랩(1500개)을 전략 재배치한다.
또 먹이터 5개를 조성해 야생멧돼지를 유인한 뒤 집중적으로 포획할 계획이다.
사람 출입이 어려운 구간에는 탐지견 12마리를 투입해 폐사체를 수거한다.
또 농사철을 맞아 양돈 농가 주변 농경지 토양, 물 등의 환경 시료를 채취·분석하여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전파요인이 있는지 사전에 점검한다.
인위적 전파 가능성이 있는 수렵인, 엽견, 총기, 사체보관창고 등 매개체는 집중적인 감시를 받는다.
오염원 배출을 막기 위해 침출수 유출, 유실·붕괴 여부 등 안전관리 실태조사도 이뤄진다.
이번 대책은 경북 산불로 인한 아프리카돼지열병의 확산을 막기 위한 조치다.
지난달 경북 의성과 청송 등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로 경북 지역 야생멧돼지의 서식 환경이 크게 달라진 상태다.
야생멧돼지가 폐사하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유행할 우려가 있다.
한편 정부는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표준행동지침(SOP)’을 개정한다.
야생멧돼지 포획 후 시료를 일정 기간 모았다가 한꺼번에 의뢰하거나, 시료를 나눠서 포상금을 중복으로 신청하는 부정행위를 근절하기 위해서다.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대규모 산불과 본격 영농활동 등으로 질병 전파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라면서 “과학적 기법 도입 등 맞춤형 대책을 추진하여 산불로 인한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방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설명했다.
세종=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