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국가들이 특히 다수 상호관세의 대상이 됐다.
![]()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년 4월 2일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열린 행사에서 상호 관세에 대한 연설을 하며 차트를 들고 있다. AFP=연합뉴스 |
베선트 장관은 “만약 보복 조치를 한다면 상황은 더 악화할 것이지만, 보복 조치가 없다면 더 이상 올라가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각국이 상호관세를 부과받은 뒤 보복관세 등 대응조치를 하면 기존 발표된 상호관세 외에 추가 부담을 지게 될 것이라는 경고다.
백악관은 이날 성명을 통해 상호관세에 대응하는 국가에 대해선 트럼프 대통령이 추가로 관세율을 높일 권한이 있다고 발표했다.
20% 상호관세 적용이 발표된 유럽연합(EU) 등은 보복관세 조치를 예고한 바 있다.
스티븐 미런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도 폭스 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상호관세가 장기적으로 국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다만 그는 ”단기적으로는 경제적 충격이 발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의 공정성, 지속 가능성,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변화를 이루는 것이 트럼프 대통령의 목표”라고 강조했다.
미런 위원장은 달러 가치를 낮추기 위해 관세를 통해 무역 상대국을 압박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긴 이른바 ‘미런 보고서’를 작성해 트럼프 행정부 관세전쟁의 설계자로 불린다.
상호관세를 포함해 미국 행정부가 신규 관세 부과로 벌어들일 수입은 연간 6000억달러(약 880조원)가 될 것이라는 전망치가 나오고 있다.
뉴욕타임스(NYT)가 이날 발표한 데이터분석 기업 엑시거의 자료에 따르면 중국(1490억달러), 한국(660억달러), 베트남(630억달러), 대만(370억달러), 일본(360억달러) 등이 추가로 관세를 부담하게 된다.
미국무역대표부(USTR) 부대표 출신인 웬디 커틀러 아시아소사이어티정책연구소(ASPI) 부회장은 블룸버그에 “특히 아시아 국가들이 사선(line of fire)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평가했다.
워싱턴=홍주형 특파원 jhh@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