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영남 지역 산불 진화작업에 투입된 산림청 산불재난특수진화대 소속 대원들이 산불재난 대응 시스템의 전면적 검토와 문제 개선을 촉구했다.
특히 장비 개선과 교육체계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3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산림청지회 소속 산불재난특수진화대 조합원들은 서울 종로구 한글회관 강당에서 기자회견 열고 산불 재난 현장에 투입되는 모든 노동자의 안전 보장, 전문성 강화, 처우개선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신현훈 지회장은 "특수진화대가 출범한 지 올해 10년째이지만, 진화대원들은 아무런 교육 없이 바로 일선에 투입된다"며 "특수진화대원은 435명이 있는데 운영 교본도 통일된 게 없고, 교육훈련 체계도 잡히지 않은 상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1월 입사했다는 한 조합원은 "산림청으로부터는 영상 교육만 받았다.
지난주 산불 때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팀원들로부터 인수·인계받은 교육 덕"이라며 "보급받은 진화복에는 제조사도 적혀 있지 않고, 헬멧에는 녹이 슬고 곰팡이가 피어 있었다"고 했다.

이들은 진화대원들이 처우 개선을 요구해도 "예산이 없다"는 말만 돌아온다며 당국의 변화를 촉구했다.
김원 노동환경건강연구소장은 "특수·예방진화대의 경우, 제대로 된 보호구도 착용하지 못하고 화재진압에 투입되고 있었다"며 "더구나 특수진화대의 착용 장비가 10kg이 넘고 예방진화대는 20ℓ의 물통을 짊어지고 진압 활동을 펼쳐야 하는 상황에서 유해물질 노출량은 더욱 많아질 것이고 고령의 대원들일 경우 그들의 건강에 끼칠 영향은 더욱 클 것"이라고 우려했다.
아울러 "기후위기가 심각해지면서 대형 산불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앞으로 더 많은 산불을 경험하게 될 수 있다"며 "지금부터는 우리 사회와 제도가 그들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