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울주군 산불 피해지의 산사태 등 2차 피해 예방을 위한 긴급진단이 완료됐다.

산림청은 지난달 28일 울주 산불 피해지에 ‘산불피해지 긴급 진단팀’을 파견해 산사태 우려 지역에 대한 긴급 진단을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긴급 진단은 산불 피해지 내 생활권 41개 구역 등 119개 구역에서 2차 피해 위험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진행됐다.
이 결과 응급복구 및 연내 복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구역은 8개 구역, 항구복구가 필요한 지역은 12개 구역으로 분류됐다.
산림청은 진단 결과를 지방자치단체와 공유해 세부 피해조사 및 복구계획 수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복구 우선순위에 따라 오는 6월까지 응급복구를 완료하고, 내년까지 항구복구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산림청은 울주에 이어 경북·경남지역 산불 피해지에도 긴급 진단팀을 집중적으로 배치해 조사 속도를 높인다.
이들 지역의 긴급 진단팀은 총 29개 팀(58명)으로 꾸려진다.
긴급 진단은 위성영상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가옥 및 공공시설 밀집 지역(생활권) 4166개 구역을 중심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산불 피해지는 집중호우 때 산사태로 이어질 위험이 크기 때문에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산림청은 위험 지역을 선제적으로 찾아내 산사태 예방사업을 추진,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