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발효… 한·미 FTA 백지화
中 34%·日 24%·EU 20% 적용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6%의 상호관세 부과를 공식 발표했다.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나라 중 한국에 가장 높은 상호관세율을 부과했다.
한국은 대만(32%), 인도(27%)와 함께 아시아 지역 동맹·우방국 중에서도 높은 관세율을 떠안았다.
미국 시장에서 고율 관세를 적용받게 된 한국 제품의 경쟁력이 약화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
한국을 비롯해 중국(34%), 유럽연합(EU·20%), 베트남(46%), 대만(32%), 일본(24%), 인도(26%) 등 대미 무역흑자국이 20% 이상 고율 관세를 적용받았다.
미국의 동맹국 혹은 우방국이 다수 포함됐으며 한국은 그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준의 관세율을 적용받게 됐다.
백악관이 배포한 팩트시트(설명자료)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5일 0시부터 모든 국가에 기본관세 10%를 부과하고 미국에 무역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각국엔 9일 0시부터 개별적으로 상호관세를 부과한다.
한국은 5일부터 10%의 기본관세, 9일부터 26%의 상호관세를 적용받게 된다.
이대로라면 한?미 FTA는 사실상 백지화된다.
정부 차원에서 트럼프 행정부와 협상을 시도하겠지만 백악관은 각 국가와 개별 협상할 의사가 거의 없다고 밝혔다.
당장 리더십 공백 상황에 있는 한국으로선 더욱 쉽지 않을 전망이다.
자동차 관세 25%도 3일 0시를 기점으로 공식 발효했다.
백악관은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등 기존에 관세가 부과된 품목은 상호관세가 추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 |
지난 2일 경기도 평택항에 세워져 있는 수출용 자동차 뒤로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연합뉴스 |
한국은 미국과 FTA를 체결해 공식적인 관세가 거의 없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 일본과 다른 매우 많은 나라가 부과하는 모든 비(非)금전적 (무역)제한이 어쩌면 최악”이라며 “여러 경우 무역에 관해선 적보다 우방이 더 나쁘다”고 말했다.
미국의 다른 FTA 체결국 중 호주 등 11개국은 기본관세율인 10% 세율을 적용받았다.
이스라엘(17%), 니카라과(19%), 요르단(20%)은 기본관세율보다 세율이 높지만 한국보다는 낮았다.
워싱턴=홍주형 특파원 jhh@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