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태그플레이션 우려도 커져
애플·나이키 등은 시간외 급락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가 거센 후폭풍을 낳고 있다.
![]() |
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의 한 상점에서 사람들이 쇼핑하는 모습. AFP연합뉴스 |
미국 경제매체 CNBC방송은 2일(현지시간) “일부 경제학자들은 관세율 인상이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며 “수입품에 대한 높은 세금이 핵심 인플레이션을 1.4∼2.2%포인트까지 올릴 수 있다”고 전했다.
물가상승은 특히 저소득층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미국진보센터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으로 가구당 연평균 5200달러(약 761만원)의 부담을 줄 것으로 추정했다.
미국 거주자들이 상품, 서비스 구매 시 지불하는 가격을 측정하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지난 2월 전년 동월대비 2.5% 상승해 물가는 이미 들썩일 조짐을 보이고 있다.
물가가 오르는 가운데 경기는 침체되는 스태그플레이션을 우려하는 시각도 강하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 애널리스트들은 “상호관세 발표에 대한 초기 반응은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이 더 높아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제신용평가사 피치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전쟁으로 미국을 포함해 많은 나라가 경기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세계금융시장은 크게 출렁였다.
일본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는 전장 대비 2.78% 급락한 3만4733.34에 거래를 마감, 지난해 8월 이후 처음으로 3만5000선이 붕괴됐다.
중국 본토 상하이종합지수와 상하이 선전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 300 지수 모두 1% 미만 하락했다.
장 마감 후 시간외 거래에서 애플, 나이키 등의 주가는 7% 넘게 내려앉았다.
강구열 기자 river910@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