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암은 입안이나 혀, 잇몸, 볼, 입천장, 턱뼈 등에서 발생하는 암이다.
전체 암 발생률에서 3~5%를 차지하는 희귀암이다.
병기가 늦게 발견될수록 치료가 어려워진다.
절제 범위가 넓어져 기능적 손상뿐 아니라 외형적 변화를 초래할 수 있어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 |
게티이미지뱅크 |
증상이 나타나더라도 흔히 겪는 구내염이나 잇몸병과 유사해 간과하기 쉽다.
턱 부위의 통증과 부종, 원인 불명의 출혈, 목소리 변화 등의 증상이 지속될 경우 정밀 검진을 받아야 한다.
구강암 환자 중 약 30%는 혀에 악성종양이 생기는 ‘설암’을 앓고 있다.
이는 혀가 외부 자극을 가장 많이 받는 부위이기 때문이다.
특히 치아에 자주 씹히거나 보철물 등에 의해 지속적인 자극을 받는 혀의 양쪽 측면에서 암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밖에도 잇몸, 혀 밑바닥 등 다양한 부위에서 구강암이 생길 수 있다.
구강암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흡연이 대표적인 원인으로 꼽힌다.
담배 속 유해 물질이 입안 점막을 지속적으로 자극해 암세포로 변형될 가능성이 크다.
△과도한 음주 △인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 △HPV 감염자와의 밀접한 신체접촉, △불량한 구강 위생 등도 위험 요인으로 지목된다.
구강암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구강 위생 관리에 신경 쓰고, 금연과 금주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흡연과 음주를 즐기는 남성에게서 발병률이 높게 나타나는 만큼 이를 삼가는 것이 필수적이다.
잘 맞지 않는 틀니나 치아 보철물로 인해 구강 점막에 지속적인 상처가 생길 경우 구강암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어 정기적인 치과 검진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구강암 치료는 종양의 위치와 병기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수술적 치료가 우선적으로 시행되며, 방사선 치료나 항암 치료가 병행될 수 있다.
수술적 치료에서는 종양과 주변 조직을 제거하며, 필요에 따라 팔, 다리의 뼈나 가슴 부위를 이용한 재건술이 시행된다.
수술 후에는 발음이나 식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 재활 치료가 병행된다.
![]() |
게티이미지뱅크 |
초기 암의 5년 생존율은 90% 이상이지만, 병기가 진행될수록 생존율이 급격히 감소한다.
정기 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이 필수적이다.
치료 후에도 새로운 구강암이나 두경부암이 재발할 가능성이 있어 철저한 구강 위생 관리와 정기적인 검진이 중요하다.
전문가들은 “구강암은 초기 증상이 미미해 쉽게 지나칠 수 있지만, 조기에 발견하면 치료 효과가 높고 기능적 손상도 최소화할 수 있다”며 “흡연과 음주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만큼 이를 피하는 생활 습관이 예방에 중요하다”고 말한다.
이어 “입안에 2주 이상 염증이나 통증이 지속된다면 반드시 치과를 방문해 검진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며 “정기적인 구강 검진을 통해 구강암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구강암 7가지 체크리스트
?입안에 지속적인 통증이나 궤양이 있다.
?목이 부풀어 오르거나 덩어리가 생겼다.
?혀나 입술에 하얀 반점이 갑자기 나타났다.
?삼킬 때 상당한 통증이나 불편함 등이 있다.
?입 안 출혈 발생하거나 지혈이 되지 않는다.
?혀·입술 감각이 둔해지거나 움직이지 않는다.
?턱이나 목에 지속적인 부기가 발생, 악화된다.
?입안에 지속적인 통증이나 궤양이 있다.
?목이 부풀어 오르거나 덩어리가 생겼다.
?혀나 입술에 하얀 반점이 갑자기 나타났다.
?삼킬 때 상당한 통증이나 불편함 등이 있다.
?입 안 출혈 발생하거나 지혈이 되지 않는다.
?혀·입술 감각이 둔해지거나 움직이지 않는다.
?턱이나 목에 지속적인 부기가 발생, 악화된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