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대사이상 지방간질환 환자, 근력 약하면 심혈관 질환 위험 커져 [필수 건강, 이것만!]

국내 연구진이 대규모 장기 데이터 분석을 통해 대사이사 지방간질환(MASLD)환자는 악력이 약할수록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커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임태섭 교수, 내분비내과 김경민 교수 연구팀은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 수검자 약 20만 명의 데이터를 평균 13.1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밝혔다.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은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등의 대사이상이 있으면서 간 내에 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불리던 질환이다.
전 세계 인구 3명 중 1명에게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유병률은 증가 추세다.
심혈관 질환은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에서 사망의 가장 큰 원인을 차지하기 때문에 심혈관 질환 고위험군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연구 결과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은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이 없는 집단에서 가장 낮았다.
이어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이 있는 집단 가운데 높은 악력, 중간 악력, 낮은 악력 순으로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컸다.
이러한 결과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서 같았다.

연구팀이 다변량 분석을 통해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 비율(Hazard ratio)을 확인한 결과, 대사이상 지방간이 없는 집단과 비교해 대사이상 지방간을 보유한 남성은 높은 악력(1.03), 중간 악력(1.14), 낮은 악력(1.38) 순서로, 대사이상 지방간을 보유한 여성은 높은 악력(1.07), 중간 악력(1.25), 낮은 악력(1.56) 순서로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커졌다.

임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근력 저하가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의 주요 사망 원인인 심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으며, 이 환자군에서 근력 관리가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라며 “앞으로 실제 근력을 강화하는 중재를 통해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이번 연구가 그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Journal of Cachexia, Sarcopenia and Muscle’에 최근 게재됐다.
정진수 기자 jen@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쎈Ŧ逾믭옙占�
HTML占쎈챷彛�
沃섎챶�곮퉪�용┛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